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805175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사라지는 우리말글 되살리고 싶어" 이정희씨
카자흐스탄 알마아타에 거주하는 이정희씨(57)는 한글신문인 "고려일보(전신 레닌기치)"에서 기자로 40여년간 활동한 언론인이다.
지난 65년부터 "아름다운 심정""목석 남편을 섬기는 여자"등의 작품을 남긴 소설가이며 희곡작가이기도 하다.
이씨는 러시아어로 글을 쓰고 책을 내면 벌써 인기 작가가 될 수도 있었지만 한글과 우리말을 고집하고 있다.
25일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주최 문학심포지엄에 참가한 이씨는 "처음엔 한글의우수성에 매료돼 우리말과 글을 고수했지만 지금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우리말과 글을 살려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83년과 89년 방북한 이씨는 "정치적인 주제를 다룰 수 없다는 북한측의 요구로 풍경과 역사 등 기행문 형식의 글을 썼었는데,마치 그때의 기억이 어렸을때 사할린에서 보았던 기억과 너무 흡사해 가슴이 아팠다"고 말하기도 했다.
지난 87년 남편을 잃고 홀로 살아온 이씨는 지난 90년 단국대에 재학 중 교통사고로 아들마저 저 세상으로 보내는 불운을 겪었고,딸도 결혼해 캐나다로 이민했지만 고려인들에게 말과 글을 보급하는 등 "한글 전도사"로 활약하고 있다.
지난 2002년 집필을 시작한 고려인들의 강제이주 역사를 담은 "희망은 마지막으로 떠난다"를 내년까지 완성해 국내에서 출간하겠다는 이씨는 "고려인 3,4세들이 우리말과 글을 쓸 수 있도록 고국이 많은 지원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03/07/25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2
틀리기 쉬운 우리말 메일로 받아 보세요
2005/10/07
연합뉴스
181
기획처 장관의 각별한 한글 칭찬
2005/10/07
연합뉴스
180
한글날 의미 갈수록 퇴색 안타깝다
2005/10/07
세계일보
179
한글 배우니 한국인 뿌리 느껴요
2005/10/07
세계일보
178
한글 발전과 사랑에 대한 공로
2005/10/06
부산일보
177
한글날 559돌, '토종'보다 진한 한글 사랑
2005/10/06
세계일보
176
한글발전 유공자-권혁철 교수 세종문화상
2005/10/06
문화일보
175
한글맞춤법 프로그램 발전 공로로 상받는 권혁철 교수
2005/10/06
한겨레
174
‘한글지키기‘한평생 최현배선생의 삶
2005/10/01
문화일보
173
세종대왕은 '(주)조선'의 대표이사였다
2005/09/30
조선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40/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