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603806 명
  깁고 더함 2007/12/28
   
 
 
한글맞춤법 | 표준어 규정 | 문장부호법 |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 조선말규범집(북한)
 
  외래어 표기법
 
제 1 장 외래어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적는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 2 장 표기 일람
  외래어는 표 1∼5에 따라 표기한다.

표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표2 에스파냐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3 이탈리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4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표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표6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7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8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9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0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1 스웨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2 노르웨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3 덴마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4 말레이인도네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5 타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6 베트남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7 포르투갈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8 네덜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9 러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제1항 무성 파열음([p], [t], [k])
제2항 유성 파열음([b], [d], [g])
제3항 마찰음([s], [z], [f], [v], [θ], [ð], [∫], [?])
제4항 파찰음([ts], [dz], [t∫], [d?])
제5항 비음([m], [n], [ŋ])
제6항 유음([l])
제7항 장모음([ː])
제8항 중모음([ai], [au], [ei], [?i], [ou], [au?])
제9항 반모음([w], [j])
제10항 복합어

제2절 독일어의 표기
제1항 [r]
제2항 ~ 제3항 어말의 파열음과 철자 'berg'
제4항 마찰음[∫]

제3절 프랑스어의 표기 :
제1항 파열음([p], [t], [k]; [b], [d], [g])
제2항 마찰음([∫], [?])
제3항 ~ 제5항

제4절 에스파냐 어의 표기 : 제1항 ~ 제3항 , 제4항 ~ 제6항
제5절 이탈리아 어의 표기 : 제1항 ~ 제4항 , 제5항 ~ 제7항
제6절 일본어의 표기 : 제1항과 제2항
제7절 중국어의 표기 : 제1항과 제2항
제8절 폴란드 어의 표기 : 제1항 ~ 제8항
제9절 체코 어의 표기 : 제1항 ~ 제6항
제10절 세르보크로아트 어의 표기 : 제1항 ~ 제5항
제11절 루마니아 어의 표기 : 제1항 ~ 제5항
제12절 헝가리 어의 표기 : 제1항 ~ 제5항
제13절 스웨덴 어의 표기 : 제1항 ~ 제12항
제14절 노르웨이 어의 표기 : 제1항 ~ 제13항
제15절 덴마크 어의 표기 : 제1항 ~ 제8항
제16절 말레이인도네시아 어의 표기 : 제1항 ~ 제15항
제17절 타이 어의 표기 : 제1항 ~ 제8항
제18절 베트남 어의 표기 : 제1항 ~ 제4항
제19절 포르투갈 어의 표기 : 제1항 ~ 제15항
제20절 네덜란드 어의 표기 : 제1항 ~ 제15항
제21절 러시아 어의 표기 : 제1항 ~ 제10항
* 참고: 라틴어 표기법
제 4 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1절 표기 원칙: 제1항 ~ 제4항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1항 ~ 제4항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제1항 ~ 제5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