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05666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한글날 국경일 회복 주력

“은사인 허웅 선생은 육친보다 더 가까운 사이였습니다. 일제 당시에 생명을 걸고 우리말을 지킨 선대 한글학자들의 유지와 전임 회장단의 뜻을 이어받아 순수한 학회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지난 13일 주시경-최현배-허웅 선생에 이어 제4세대 한글 지킴이의 역할을 맡게 된 김계곤 경인교대 명예교수(79·사진). 그는 지난 1월 타계한 고(故) 허웅 전 회장의 뒤를 이어 한글학회 이사장 겸 회장직을 맡은 소감을 이렇게 말했다.

“오는 2008년이면 한글학회가 창립 100주년을 맞습니다. 한글날의 국경일 회복,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한글의 전산화 작업 등 임기중에 치러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김회장은 구체적인 학회 일정과 사업계획은 22일 이사회에서 잡아갈 예정”이라며 “지구상에 3,000여종의 언어와 300여종의 글자가 있지만 말과 글을 아울러 쓰고 있는 나라 수는 20여개 안팎이고 더욱이 기념일을 가진 글자는 한글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1926년 경북 청도에서 태어난 김회장은 부산사범학교 졸업 직후인 48년 부산중앙초등 교사로 첫발을 내디딘 후 초등 1년, 중학 2년, 고교 14년, 대학 25년 등 전 교육기관에서 42년간 교육자의 길을 걸었다. 지난 94년 제16회 외솔상 ‘실천부문’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김회장은 우리말 조어법에 관한 논문 26편을 발표, 조어법 연구에 매진하기도 했다. 또 기전문화연구소장을 맡으면서 표준말의 변방에 밀려있던 경기도 방언연구로 22편의 논문을 내 이 부문 계통수립에 큰 업적을 남겼다.

2004/03/16 경향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1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110 `우리말지킴이`로 한평생 국어연구원 전수태 박사 2003/08/05 세계일보
109 "사라지는 우리말글 되살리고 싶어" 이정희씨 2003/07/25 한국경제
108 “초등학교 국어책 30곳에 오류” 시정요구 정순열 씨 2003/06/30 문화일보
107 “인터넷에서 한글문헌 퍼가세요” 2003/06/16 경향신문
106 한국어 사랑, 그길을 열어갑니다 2003/06/15 경향신문
105 “우리말 우리맛대로 가르쳐요” 2003/06/08 경향신문
104 이익섭 교수 국어학술상 수상 2003/06/02 한국일보
103 `우리말글 지킴이`에 신기남, 정의순씨 2003/05/30 연합뉴스
102 우리말글 사랑 놓지 못하는 이오덕씨 2003/05/26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