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1180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1908년 시인 金起林 출생

‘아무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준 일이 없기에/흰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청(靑)무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어린 날개가 물결에 젖어서/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1930년대에 모더니즘의 ‘앞선 걸음’을 갔던 시인 김기림.

애송시 ‘바다와 나비’는 서구 이미지즘의 물을 한껏 들이켠 그의 면모가 여실하다. 당시 감상과 퇴폐에 전 한국시의 ‘굳은살’을 벗겨냈다. 그 시어(詩語)의 다채로움과 재기발랄함이라니.

그가 열어젖힌 우리시의 근대적 공간은 ‘魚族과 같이 新鮮하고 旗빨과 같이 活潑하고 표범과 같이 大勝’하였다.

“모더니즘은 문명의 아들이다. 우리 신시(新詩)에 비로소 처음 얼굴을 내민 도회의 자식이다. 문명의 뭇 면이 풍월(風月) 대신 등장했고, 모더니즘은 건축가의 설계 아래 자신의 언어를 지어냈다.”

어찌 임화와 김기림을 빼고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아이덴티티를 논하랴.

“해방 이전 우리 비평의 최고 수준”을 이루었다는 임화의 리얼리즘 시론. 그리고 서구 모더니즘의 기예를 통해 한국 문학과 역사의 근대성을 굴착(掘鑿)해 들어갔던 김기림.

그러나 애석하게도 두 사람의 문학적 성취는 분단(分斷)의 굴절 속에서 맥이 끊기고 말았다. 미완으로 묻혔다. 김기림은 6·25전쟁 때 납북된다. 그는 절실히 근대를 갈구했으나 그 비극성을 예감했음인가.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은 ‘근대’, 그것의 파산을 예고했으며 위기에 선 ‘근대’의 초극(超克)이라는, 말하자면 세계사적 번민에 우리 젊은 시인들은 마주하고 말았던 것이다….”

그래서 일제하 식민지 지식인에게 ‘근대의 바다’는 수심도 알 길이 없고, 삼월에도 꽃이 피지 않는 무생명의 불모(不毛)의 공간으로 다가왔던 것이다.

‘바다와 나비’는 모더니스트의 슬픈 자화상이기도 하다. 그 스산한 내면의 풍경이다.

그는 ‘태양의 풍속(風俗)’에서 절규하듯 읊는다.

‘태양아/너의 사나운 풍속을 좇아서 이 어둠을 깨물어 죽이련다.//…태양보다 이쁘지 못한 시. 태양일 수가 없는 서러운 나의 시를 어두운 병실에 켜 놓고 태양아 네가 오기를 나는 이 밤을 새워가며 기다린다.’

2004/05/10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2 틀리기 쉬운 우리말 메일로 받아 보세요 2005/10/07 연합뉴스
181 기획처 장관의 각별한 한글 칭찬 2005/10/07 연합뉴스
180 한글날 의미 갈수록 퇴색 안타깝다 2005/10/07 세계일보
179 한글 배우니 한국인 뿌리 느껴요 2005/10/07 세계일보
178 한글 발전과 사랑에 대한 공로 2005/10/06 부산일보
177 한글날 559돌, '토종'보다 진한 한글 사랑 2005/10/06 세계일보
176 한글발전 유공자-권혁철 교수 세종문화상 2005/10/06 문화일보
175 한글맞춤법 프로그램 발전 공로로 상받는 권혁철 교수 2005/10/06 한겨레
174 ‘한글지키기‘한평생 최현배선생의 삶 2005/10/01 문화일보
173 세종대왕은 '(주)조선'의 대표이사였다 2005/09/30 조선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