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258340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역사속 오늘-한글학자 주시경 타계
1914년 7월 27일 한글 중흥에 평생을 바친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 3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만주로 투쟁의 길을 떠나기로 마음먹고 준비하던 중 겹친 과로 때문이었다.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한 주시경 선생은 1897년 배재학당 만국지지(萬國地誌) 특별과를, 이어 1900년에는 보통과를 졸업하였다.
1896년 독립협회 등의 조직에 참여했고, 독립신문 교정원으로 일하면서 한글 기사체(記寫體)의 통일과 연구에 힘쓰는 한편, 여러 학교와 강습소의 교사·강사직을 맡아 한글 교육과 보급에 전력을 기울였다.
이후에도 주시경 선생은 우리말과 글의 과학적인 체계를 세워 국어학 중흥의 선구자가 되었다.
한편 한글 보급에 정성을 기울여 이규영, 최현배, 장지영, 이병기 등의 제자를 길러냈다.
1921년에는 이들 문하생이 중심이 되어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한글학회의 전신)를 조직함으로써 1933년 드디어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 맞춤법의 과학적 연구가 결실을 보게 되었다.
암울한 시대에 한 학자의 불굴의 투지로 인해 우리는 지금 우리말과 글을 지켜올 수 있었다.
2004/07/27 매일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12
美 팝스타 크리스브라운 `한글사랑 남달라`
2012/07/05
스타투데이
311
가나다라 … 한글 배우러 온 찌아찌아족 선생님 넷
2012/06/20
중앙일보
310
발표하듯… 의욕만 앞선 행정용어 순화
2012/06/19
조선일보
309
한국인 외래어 남용, 우리말 없어질까 걱정
2012/06/15
중앙일보
308
너나 잘 하세요
2012/05/31
채널예스
307
지구상 유일 언어 쓰는 할머니, 네팔 `쿠순다어` 구사 마지막 1人
2012/05/18
TVREPORT
306
[독자마당] 국적 불명의 제목 바꿔야
2012/05/10
부산일보
305
[박대종의 어원 이야기] 미사일(誘導彈)
2012/04/23
주간한국
304
한 입으로 두 말 하면
2012/04/23
시민일보
303
아린지? 오린지?
2012/04/20
프레시안
제목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7/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