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877738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역사속 오늘-한글학자 주시경 타계
1914년 7월 27일 한글 중흥에 평생을 바친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 3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만주로 투쟁의 길을 떠나기로 마음먹고 준비하던 중 겹친 과로 때문이었다.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한 주시경 선생은 1897년 배재학당 만국지지(萬國地誌) 특별과를, 이어 1900년에는 보통과를 졸업하였다.
1896년 독립협회 등의 조직에 참여했고, 독립신문 교정원으로 일하면서 한글 기사체(記寫體)의 통일과 연구에 힘쓰는 한편, 여러 학교와 강습소의 교사·강사직을 맡아 한글 교육과 보급에 전력을 기울였다.
이후에도 주시경 선생은 우리말과 글의 과학적인 체계를 세워 국어학 중흥의 선구자가 되었다.
한편 한글 보급에 정성을 기울여 이규영, 최현배, 장지영, 이병기 등의 제자를 길러냈다.
1921년에는 이들 문하생이 중심이 되어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한글학회의 전신)를 조직함으로써 1933년 드디어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 맞춤법의 과학적 연구가 결실을 보게 되었다.
암울한 시대에 한 학자의 불굴의 투지로 인해 우리는 지금 우리말과 글을 지켜올 수 있었다.
2004/07/27 매일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92
인도·동유럽에 한국어 전파 앞장 `권영민 교수`
2006/03/28
중앙일보
191
노현정 아나운서 국어원 홍보대사
2006/03/27
한겨레
190
한글 가르치는 미니홈피 운영
2006/02/07
중앙일보
189
국립국어원장 임기 마친 남기심 씨
2006/02/01
동아일보
188
신임 국립국어원장 이상규 경북대 교수
2006/01/26
매일신문
187
다산의 ‘애틋한’ 우리말글 사랑
2005/10/25
경향신문
186
원로 국어학자 신문 조어 제목에 일침
2005/10/25
연합뉴스
185
부산대 정보컴공 권혁철 교수
2005/10/18
한국일보
184
세종대왕은 우리의 영웅
2005/10/08
조선일보
183
'우리 글 쉽게 배우는 법' 26년 연구
2005/10/08
중앙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9/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