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757796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역사속 오늘-한글학자 주시경 타계
1914년 7월 27일 한글 중흥에 평생을 바친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 3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만주로 투쟁의 길을 떠나기로 마음먹고 준비하던 중 겹친 과로 때문이었다.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한 주시경 선생은 1897년 배재학당 만국지지(萬國地誌) 특별과를, 이어 1900년에는 보통과를 졸업하였다.
1896년 독립협회 등의 조직에 참여했고, 독립신문 교정원으로 일하면서 한글 기사체(記寫體)의 통일과 연구에 힘쓰는 한편, 여러 학교와 강습소의 교사·강사직을 맡아 한글 교육과 보급에 전력을 기울였다.
이후에도 주시경 선생은 우리말과 글의 과학적인 체계를 세워 국어학 중흥의 선구자가 되었다.
한편 한글 보급에 정성을 기울여 이규영, 최현배, 장지영, 이병기 등의 제자를 길러냈다.
1921년에는 이들 문하생이 중심이 되어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한글학회의 전신)를 조직함으로써 1933년 드디어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 맞춤법의 과학적 연구가 결실을 보게 되었다.
암울한 시대에 한 학자의 불굴의 투지로 인해 우리는 지금 우리말과 글을 지켜올 수 있었다.
2004/07/27 매일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91
알알·칼칼 …“맛 표현은 내 전공”
2003/01/29
내외경제
90
“경어법에 적응하느라 혼났어요”
2003/01/28
문화일보
89
古書 7000권 수집… “교과서박물관 만들 것”
2003/01/07
문화일보
88
베이징의 대학에서 <한국어 회화>를 종강하며
2003/01/05
한겨레신문
87
`한국어 학당` 설립해 외국노동자 2년째 가르쳐
2002/11/24
동아일보
86
러시아 한국어학자 드미트리예바 발렌티나
2002/11/20
한겨레신문
85
벽안의 한국어학자 로스 킹교수 방한
2002/11/05
국민일보
84
외국인이 ‘우리말’ 가르친다
2002/11/05
파이낸셜뉴스
83
박영근씨 “말하는 법 모르는 요즘 아이들은 感盲”
2002/10/28
문화일보
82
독특한 문장의 에세이스트
2002/10/25
한국일보
제목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49/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