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9904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서도명창 吳福女

지방에 따라 사투리가 다르고 음식맛이 다르듯 노래에도 특징이 있게 마련이다 . 국악에서 황해도 평안도지방에 전승돼온 잡가 민요 등을 경기소리 남도소리와 구분지어 "서도소리"라고 부르는 것도 그 독특함 때문이다. 서도소리는 예부터 대륙과 인접한 거친 풍토에서 이민족과 겨루며 살아온 관서지방민들의 생활속에 면면히 이어져온 소리다. 그래서인지 씩씩하고 유장한 느낌을 주고 격식없는 노랫말이 동적인 반면 구슬픔이 선율에 깔려 있다. "일생일장은 춘몽이요 세상공명은 꿈밖이로구나..." "수심가"를 들으면 알 수 있듯 서도소리는 창법이 특이해 콧소리로 얕게 떨다가 큰소리로 길게 뽑은뒤 갑자기 다시 콧소리로 변한다. "수심가토리"라고 부르는 이 장식음은 오죽하면 대동강 물을 먹지 않은 사람은 흉내내기도 어렵다고 했을까. 남도소리가 깨지는 소리를,경기민요가 고은 소리를 내는 것과는 달리 서도소리는 감정의 폭이 넓고 발성법도 다양해 배우려는 사람도 드물다. 서도소리가 국악중에서도 최고의 비인기종목으로 푸대접을 받아온 것도 실은 배우기 어려운 탓이다. 오복녀(오복녀)씨는 평양에서 태어나 16세때부터 평양의 명창 장금화에게서 소리를 익혀온 정통 서도소리꾼이다. 하지만 결혼,남편납북,6.25동란 등 북새통에 삶의 무게에 눌려 소리는 생각도 못했다. 정작 소리인생을 다시 시작한 것은 뒤늦은 50대 중반부터다.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아 71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29호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 그는 일제때 서도명창 김밀화주를 이은 유일한 생존자로서 적통의 자리를 지켜왔다. 서도소리 원형보존에 대한 집념도 남달랐다. 보존회를 이끌어 오면서 많은 음반을 남겼고 78년에는 "몽금포타령"을 비롯한 서도소리 42곡의 발성법을 쉽게 기호화한 "서도소리교본"을 펴내기도 했다. 90년 평양 통일음악제에 참가해 서도소리가 본고장에서 맥이 끊긴 것을 확인하고는 통일이 되면 다시 서도소리를 가르쳐야한다며 몇명 안되는 제자들을 다그쳤던 그가 89세로 타계해 엊그제 장례를 치렀다. 훌쩍 저승길로 떠난 그 대신 외로운 맥을 이어갈 제자들이 걱정이다.

2001/01/11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2 `부자사전`이 아니라 `부사사전`이요 2007/01/08 한겨레
221 국내 최고 한글 금속활자 발견 2007/01/05 부산일보
220 남북 언어 이질 현상 극복 시급해 2006/12/25 세계일보
219 말글사랑 외길 2006/12/25 미디어오늘
218 (인터뷰) 우리말 연구가 임무출씨 2006/11/11 매일신문
217 국어는 국가의 품위 … 지도자들이 먼저 훼손 2006/10/30 중앙일보
216 [명복을 빕니다]안병희 초대 국립국어원장 2006/10/25 동아일보
215 고은 시인 이번에도 `쓴잔` 2006/10/13 세계일보
214 한글은 한국 알리는 우수한 꾸림정보 2006/10/12 미디어오늘
213 김운기씨 `국어교과서 박물관 꼭 세우고 싶어요` 2006/10/08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