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59038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서도명창 吳福女

지방에 따라 사투리가 다르고 음식맛이 다르듯 노래에도 특징이 있게 마련이다 . 국악에서 황해도 평안도지방에 전승돼온 잡가 민요 등을 경기소리 남도소리와 구분지어 "서도소리"라고 부르는 것도 그 독특함 때문이다. 서도소리는 예부터 대륙과 인접한 거친 풍토에서 이민족과 겨루며 살아온 관서지방민들의 생활속에 면면히 이어져온 소리다. 그래서인지 씩씩하고 유장한 느낌을 주고 격식없는 노랫말이 동적인 반면 구슬픔이 선율에 깔려 있다. "일생일장은 춘몽이요 세상공명은 꿈밖이로구나..." "수심가"를 들으면 알 수 있듯 서도소리는 창법이 특이해 콧소리로 얕게 떨다가 큰소리로 길게 뽑은뒤 갑자기 다시 콧소리로 변한다. "수심가토리"라고 부르는 이 장식음은 오죽하면 대동강 물을 먹지 않은 사람은 흉내내기도 어렵다고 했을까. 남도소리가 깨지는 소리를,경기민요가 고은 소리를 내는 것과는 달리 서도소리는 감정의 폭이 넓고 발성법도 다양해 배우려는 사람도 드물다. 서도소리가 국악중에서도 최고의 비인기종목으로 푸대접을 받아온 것도 실은 배우기 어려운 탓이다. 오복녀(오복녀)씨는 평양에서 태어나 16세때부터 평양의 명창 장금화에게서 소리를 익혀온 정통 서도소리꾼이다. 하지만 결혼,남편납북,6.25동란 등 북새통에 삶의 무게에 눌려 소리는 생각도 못했다. 정작 소리인생을 다시 시작한 것은 뒤늦은 50대 중반부터다.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아 71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29호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 그는 일제때 서도명창 김밀화주를 이은 유일한 생존자로서 적통의 자리를 지켜왔다. 서도소리 원형보존에 대한 집념도 남달랐다. 보존회를 이끌어 오면서 많은 음반을 남겼고 78년에는 "몽금포타령"을 비롯한 서도소리 42곡의 발성법을 쉽게 기호화한 "서도소리교본"을 펴내기도 했다. 90년 평양 통일음악제에 참가해 서도소리가 본고장에서 맥이 끊긴 것을 확인하고는 통일이 되면 다시 서도소리를 가르쳐야한다며 몇명 안되는 제자들을 다그쳤던 그가 89세로 타계해 엊그제 장례를 치렀다. 훌쩍 저승길로 떠난 그 대신 외로운 맥을 이어갈 제자들이 걱정이다.

2001/01/11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