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58390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서도명창 吳福女

지방에 따라 사투리가 다르고 음식맛이 다르듯 노래에도 특징이 있게 마련이다 . 국악에서 황해도 평안도지방에 전승돼온 잡가 민요 등을 경기소리 남도소리와 구분지어 "서도소리"라고 부르는 것도 그 독특함 때문이다. 서도소리는 예부터 대륙과 인접한 거친 풍토에서 이민족과 겨루며 살아온 관서지방민들의 생활속에 면면히 이어져온 소리다. 그래서인지 씩씩하고 유장한 느낌을 주고 격식없는 노랫말이 동적인 반면 구슬픔이 선율에 깔려 있다. "일생일장은 춘몽이요 세상공명은 꿈밖이로구나..." "수심가"를 들으면 알 수 있듯 서도소리는 창법이 특이해 콧소리로 얕게 떨다가 큰소리로 길게 뽑은뒤 갑자기 다시 콧소리로 변한다. "수심가토리"라고 부르는 이 장식음은 오죽하면 대동강 물을 먹지 않은 사람은 흉내내기도 어렵다고 했을까. 남도소리가 깨지는 소리를,경기민요가 고은 소리를 내는 것과는 달리 서도소리는 감정의 폭이 넓고 발성법도 다양해 배우려는 사람도 드물다. 서도소리가 국악중에서도 최고의 비인기종목으로 푸대접을 받아온 것도 실은 배우기 어려운 탓이다. 오복녀(오복녀)씨는 평양에서 태어나 16세때부터 평양의 명창 장금화에게서 소리를 익혀온 정통 서도소리꾼이다. 하지만 결혼,남편납북,6.25동란 등 북새통에 삶의 무게에 눌려 소리는 생각도 못했다. 정작 소리인생을 다시 시작한 것은 뒤늦은 50대 중반부터다.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아 71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29호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 그는 일제때 서도명창 김밀화주를 이은 유일한 생존자로서 적통의 자리를 지켜왔다. 서도소리 원형보존에 대한 집념도 남달랐다. 보존회를 이끌어 오면서 많은 음반을 남겼고 78년에는 "몽금포타령"을 비롯한 서도소리 42곡의 발성법을 쉽게 기호화한 "서도소리교본"을 펴내기도 했다. 90년 평양 통일음악제에 참가해 서도소리가 본고장에서 맥이 끊긴 것을 확인하고는 통일이 되면 다시 서도소리를 가르쳐야한다며 몇명 안되는 제자들을 다그쳤던 그가 89세로 타계해 엊그제 장례를 치렀다. 훌쩍 저승길로 떠난 그 대신 외로운 맥을 이어갈 제자들이 걱정이다.

2001/01/11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1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110 `우리말지킴이`로 한평생 국어연구원 전수태 박사 2003/08/05 세계일보
109 "사라지는 우리말글 되살리고 싶어" 이정희씨 2003/07/25 한국경제
108 “초등학교 국어책 30곳에 오류” 시정요구 정순열 씨 2003/06/30 문화일보
107 “인터넷에서 한글문헌 퍼가세요” 2003/06/16 경향신문
106 한국어 사랑, 그길을 열어갑니다 2003/06/15 경향신문
105 “우리말 우리맛대로 가르쳐요” 2003/06/08 경향신문
104 이익섭 교수 국어학술상 수상 2003/06/02 한국일보
103 `우리말글 지킴이`에 신기남, 정의순씨 2003/05/30 연합뉴스
102 우리말글 사랑 놓지 못하는 이오덕씨 2003/05/26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