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1101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한글을 문자예술로 ‘승화’

한글 서예를 조형예술로 승화시켜 독특한 작품세계를 추구해 온 늘빛 심응섭(혜전대학 교수·시인)화백이 오는 9일까지 서산시 문화회관 전시실에서 초대전을 갖는다.

서산시문화회관(관장 박명길)이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예술 작품들을 감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 마련한 이번 초대전에는 심 화백이 그동안 심화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작품 40여 점이 일반인들에게 선보인다. 특히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들은 한글의 우수성과 한글서체가 갖고 있는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담고 있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게 된다.

심 화백은 한국 문단과 서단에서 시인, 서예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30여년 동안 14회의 개인전과 45회의 그룹전시회를 갖는 등 한글을 아름다운 문자예술로 창조함으로써 한글의 위상을 높이는데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산이 고향인 심 화백은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동 대학원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92년도 대통령 표창, 99년도에 한국예술문화상, 2001년도에는 문화관광부장관상을 수상한 지역 문화예술계의 거장으로 꼽히고 있다.

2004/12/07 대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564 [`다움`과 `스러움`] 우리나라에서 우리 글자 쓰자는데 2016/12/01 뉴스천지
563 [문유석 판사의 일상] 미스라는 호칭 속에도 숨어 있는 차별 2016/11/29 중앙일보
562 [독자 마당] 행정기관 이름만은 우리말로 2016/11/11 조선일보
561 [이재준 문화칼럼] 아주머니 호칭 논란 2016/10/30 뉴스천지
560 `-적`과 `-스런`의 동침 2016/10/13 한국경제
559 외국인들이 밝힌 `한국어` 어려운 점 2016/10/11 위키트리
558 [사설] 복음 전파에 한몫한 한글 2016/10/09 가톨릭신문
557 [이래서야] 국적 불명 신조어와 약자 범람… 가속화되는 우리글 파괴 2016/10/07 조선일보
556 훈민정음 반포 570돌 맞은 `한글날` 당신이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2016/10/06 매일경제
555 [기고]570돌 한글날에 한글의 고마움을 다시 생각해 본다 2016/10/06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