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794036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ㅆ, ㅉ 발음하기가 어려워요'

"하도 긴장해서 무슨 말을 어떻게 했는지 기억이 하나도 안나요."

경희대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인도네시아인 플로리안(26)이 지난주 이 대학이 주최한 '제8회 전국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는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 11개국 출신의 20명과 경쟁했다.

그는 "나갈(외출할) 때마다 비닐봉투를 넣어서(챙겨서) 나가자. 도중 버릴 게 있으면 그 봉투에 담아 집에 있는 쓰레기통에 버리자"는 내용으로 '환경 보호'에 대해 3분간 얘기했다.

"2주간 숙제하랴, 대회 준비하랴 하루 네 시간도 채 못 잤어요. 골치 아팠던 건 원고가 문법적으로는 틀린 게 아닌데도 한국말 같지 않다는 거였어요. (예를 들어) 전 '신기하다'고 썼는데 한국 사람은 '희한하다'고 말한다더군요."

그의 '하소연'은 이어졌다. "ㅆ, ㅉ 발음도 어렵고, 존대말과 반말 구분하기도 어려워요."

플로리안은 원래 인도네시아국립대에서 일어일문학을 전공했다. 그러나 2002년 10월 이 대학 합창단 '바리기따'(아주 큰 목소리란 뜻의 인도네시아어) 단원으로 부산 합창올림픽에 참가한 걸 계기로 한국어로 관심을 돌렸다.

그가 다닌 대학에는 한국어학과는 고사하고 한국어 강좌도 없다. 그래서 한국어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고, 지난해 9월 국제교육원에 등록했다.

그의 목표는 분명하다. "(인도네시아 대학들에) 정식 한국어과는 거의 없어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교수도 없고요. (그런 만큼) 꼭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고 싶어요. 한국에 오기 전 (모교) 문학부장(교수)과 (그런 내용으로) 계약서도 썼는 걸요." 그는 인도네시아 정부 장학금으로 9월부터는 경희대 한국어교육과 석사과정에서 공부하게 된다.

그는 영어와 독일어도 한다. 모교 독어독문학과장인 부친의 영향이라고 했다. 5개 국어를 하는 그에게 "어느 나라 말이 가장 어려운가" 라고 물어봤더니 "일본어는 한자가, 독일어는 문법과 단어의 성 구별이, 한국어는 발음이 어렵다"고 답했다.

2005/05/23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2 `고유한 우리말 적극 살려쓰자`<北언어학자> 2006/05/11 연합뉴스
201 김계곤 회장 `책상머리에 사전 한권 ` 2006/05/04 동아일보
200 한글은 우수한 문자 2006/05/02 중앙일보
199 한국어 알리기 나선 한국홍보 전도사 서경덕씨 2006/05/02 연합뉴스
198 [말들의 풍경] <8> 이오덕의 `우리글 바로쓰기` 2006/04/25 한국일보
197 한글이 사람이다 글자가 예술이다 2006/04/25 조선일보
196 [말들의 풍경] <6> 외래어와의 聖戰 2006/04/11 한국일보
195 `유명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 보라` 2006/04/10 조선일보
194 우리글 지킴이 이수열 솔애울 국어순화연구소장 2006/04/01 동아일보
193 남아공학교서 첫 한국어 교육 이상훈 목사 2006/03/31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