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72190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남기심 신임 국어연구원장 인터뷰

정부는 최근 제5대 국립국어연구원장에 연세대 국문과 남기심(65.사진) 교수를 임명했다. 신임 남원장은 심재기 원장의 뒤를 이어 이달 22일 정식 취임한다. 정년을 6개월 앞두고 공직자로 나서는 남원장은 `국어 완형 보문법 연구` `표준국어 문법론` 등 18권의 저서를 낸 중견 국어학자다. 취임 소감과 앞으로 연구원의 운영방향 등을 들어본다. - 연구원의 목표는. "한마디로 `대중 속의 연구원` 을 만들겠다. 학교에 있다 보면 사람들로부터 `이 말은 무슨 뜻이냐` `어떻게 쓰이냐` 를 묻는 전화를 자주 받곤 했다. 이젠 이런 문의가 연구원으로 집중되도록 대중화에 치중할 것이다." - 구체적인 실현방안은 무엇인가. "국어정보화에 박차를 가할 생각이다. 자료의 전산화를 통해 누구나 쉽게 의문점을 해결하도록 돕는 일이다. 현재 상당부분 진척돼 있는 것으로 안다. 보다 속도를 낼 계획이다." - 영어 등 외국어에 맞선 국어의 국제화도 시급한데. "1980년대 이후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그러나 이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교재는 태부족한 실정이다. 문법책과 사전만 있어도 혼자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교재 개발에 힘쓸 것이다." - `영어 공용화론` 등 우리말의 위기가 심각하다. "국민 개개인이 국어의식을 새롭게 해야한다. 국어사랑 나라사랑 이란 말이 있지 않은가. 옛날 어른들은 자식에게 편지를 받으면 어법에 맞게 글을 다듬어 다시 붙여주곤 했다. 그 정도로 우리말 사랑이 지독했다는 이야기다." -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에 대한 생각은. "아직까지는 단어 차원의 문제로 심각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방언의 차이 정도다. 이는 대중매체의 교육을 통해 쉽게 극복할 수 있다. 다만 북한 사전은 `아` 를 맨 뒤로 보내는 등 사전의 체제가 다른 점은 빨리 시정해야 한다."

2001/01/14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