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04975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한글날 의미 갈수록 퇴색 안타깝다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글과 한글날의 의미가 갈수록 퇴색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559돌 한글날을 맞아 문화관광부와 한글학회가 공동 수여하는 ‘우리 말글 지킴이’에 선정된 송귀현(51·전북학원총연합회장·전주시 덕진동·사진)씨. 송씨는 고교에 다니던 1970년대 초 지도교사였던 박병순(시조시인)씨의 도움으로 동급생 5명과 함께 ‘가나다 모임’을 만들어 30년이 넘게 우리말 사용 운동을 전개한 공로로 한글날인 오는 9일 상을 받는다.

그가 한글에 대한 애정을 싹 틔운 것은 한의원을 운영하던 부친 영향과 한자나 일본어를 많이 사용하던 당시 상황 때문이었다. ‘갈근’(葛根·칡뿌리)이나 ‘진피’(陳皮·귤 껍질) 등 한자로 된 한약재 이름을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을 하다 작고한 부친의 뜻을 받들기로 결심한 그는 몇몇 친구들과 함께 동급생들을 만날 때마다 한자나 일본어 사용의 자제를 호소했다.

고교를 갓 졸업한 74년 한글학회를 찾아 당시 허웅(한글학회 전 이사장) 서울대 교수에게 지원을 요청, 지역민에게 한글의 중요성에 대한 강의 등을 실시하기도 했다.

또 한자로 된 문패를 한글로 바꿔 달아주거나 표기가 틀린 업소의 간판을 고쳐 주는 등 실생활에서 우리말 사용을 확산시켰다. 토박이말 발굴과 세종대왕의 얼 살리기 운동 등을 뿌리 내리는 데 힘쓰기도 했다.

그는 딸의 이름도 큰 주체성을 가지라는 의미에서 한나(23·전북대 국문학과)라고 지었다.

2005/10/07  세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 한글 학자 주시경 선생 2001/10/23 소년한국일보
40 장세경·김월운씨 외솔상 수상 2001/10/16 국민일보
39 우리말 살리는 겨레모임’ 대표 이대로씨 2001/10/09 국민일보
38 한국어 태국 보급에 보탬됐으면... 2001/10/04 한국경제
37 10월 문화인물에 신라 유학자 설총 2001/09/25 연합뉴스
36 9월의 문화인물에 허균.허난설헌 2001/08/28 연합뉴스
35 李克魯 2001/08/27 한국일보
34 周時經 2001/07/26 한국일보
33 [장영실은 누구인가] 조선시대 자격루.측우기 발명 2001/06/15 매일경제
32 가람 이병기 2001/06/10 한국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