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791486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틀리기 쉬운 우리말 메일로 받아 보세요

일상 생활에서 잘못 쓰기 쉬운 한글 맞춤법을 매일 e-메일로 보내주는 `우리말 전령사'가 있다.

주인공은 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원 성제훈(39)씨.

성씨는 2003년 9월부터 틀리기 쉬운 우리 말글의 용법을 매일 하나씩 골라 바른 사용법을 알려주는 e-메일을 보내주고 있다.

그는 `삼가하다ㆍ정안수ㆍ돈을 울궈먹다' 등 일상 생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쓰이는 잘못된 표현을 `삼가다ㆍ정화수ㆍ돈을 우려먹다'로 바로잡아 줬다.

처음엔 직장 동료 3∼4명을 상대로 시작한 것이 이젠 알음알음으로 늘어나 몇 명이 자신의 메일을 받고 있는지 모를 정도로 인기가 높아졌다.

그의 e-메일을 통해 우리말 공부를 하고 있는 이들은 고객에게 자주 편지를 써야 하는 보험설계사에서부터 회사원과 상인, 농민, 전업주부 등 직업군이 다양하다.

성씨는 "한 50대 주부가 `학교를 다닌 지 너무 오래돼 맞춤법에 전혀 자신이 없었는데 e-메일 덕분에 자식들 앞에서도 기죽지 않는다'며 고마워 할 때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언뜻 국어와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농업 연구원인 그가 우리말 사랑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여놓게 된 것은 우리 말에 대한 뼈아픈 자기반성이 출발점이 됐다.

"저는 농학자여서 농민을 상대로 글을 많이 씁니다. 몇년 전 자신있게 써서 편지를 보냈는데 한 농민이 들고와 `이게 무슨 뜻이냐'라고 물었을 때는 아차 싶더라구요"

일본어 문투와 한문이 많이 섞인 글을 써오던 성씨는 그 일이 있은 뒤 우리말에 관한 책을 닥치는 대로 읽고 국립국어원에서 교육을 받는 등 우리말 다시 배우기에 나섰다.

이렇게 얻은 우리말 지식을 널리 알리고자 매일 아침 출근하자마자 30분을 들여 아는 사람들에게 e-메일을 쓰게 됐고, 이 일이 알려지면서 이젠 라디오 방송에도 출연해 한글 맞춤법을 강연하게 됐다.

성씨는 "지식은 머릿속에 재여 놓는 게 아니라 함께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올바른 우리 말을 알리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매일 아침 성씨가 보내주는 우리 말 지식을 받아 보려면 `urimal123@hanmail.net'으로 신청하면 된다.

2005/10/07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83 우리말 대역 어휘집의 짜임새 2013/04/23 교수신문
382 [조현용의 우리말로 깨닫다] 값어치 있는 삶이란? 2013/04/23 재외동포신문
381 김흥수 `맞춤법 틀린 메뉴판 보면 그냥 못넘어가요` 2013/04/23 동아일보
380 [신문 보고 생각 키우고] `사투리는 표준어와 다를 뿐 틀린 말이 아니다` 2013/04/17 부산일보
379 [씨줄날줄] 어처구니 이야기/함혜리 논설위원 2013/04/17 서울신문
378 [데스크칼럼] `뜨즉뜨즉`과 `띄엄띄엄` 사이 2013/04/15 이데일리
377 장애인고용, `함께`에서 `하나`로 2013/04/15 에이블뉴스
376 [조현용의 우리말로 깨닫다] 말 같은 소리를 해라 2013/04/09 재외동포신문
375 [날줄씨줄]`찌라시`와 `미쓰리` 2013/04/03 재민일보
374 엘니뇨가 `엘리뇨`면 신라는 `실라`로 적나 2013/03/27 미디어오늘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