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764906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인도·동유럽에 한국어 전파 앞장 `권영민 교수`

권영민 서울대 국문과 교수가 인도와 옛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전도사'를 자임하고 나섰다. 그의 주도로 '인도, 동구권 한류(韓流)지역 한국어교육지원 사업단'이 최근 발족했다. 삼성문화재단이 사업추진비로 올해 1억4000만원을 내놓았고, 앞으로 2009년까지 후원하기로 약속했다. 서울대 국문학과와 서울대 언어교육원이 사업 진행을 공동 주관한다.

"첫째 과제는 인도와 동구권의 관습과 문화를 반영한 '맞춤형 교재'를 만드는 일이에요. 초급.중급.고급으로 나눠 한국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나아가 한국어를 배우는 대학생들을 초청해 한국 문화를 체험할 단기 연수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권 교수는 한국어의 보급을 지원하면서 '친(親)한국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5월께 인도의 네루대와 델리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 40명을 2주간 일정으로 한국에 초청할 예정이다.

이들 대학의 교수 3명도 함께 초청해 한국-인도 간 교류를 활성화 할 방안도 모색한다. 이달 중순 실무진이 네루대와 델리대를 방문해 교재 출간과 학생 연수 등에 관한 협의를 마치고 돌아왔다. 동구권은 우크라이나.폴란드.헝가리 등을 중심으로 내년부터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권 교수가 인도와 동구권을 택한 이유는 중복 지원을 피하기 위해서다. 이들 지역에서도 한국에 대한 관심이 최근 높아지고 있지만, 중국.일본이나 동남아 지역에 비해 한국어 교육을 위한 지원의 손길이 덜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서울대 교수 1700명 가운데 인도 전문가가 1명도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인도에 한국어 교사를 파견하는 방안도 찾아볼 예정이에요."

2006/03/28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1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110 `우리말지킴이`로 한평생 국어연구원 전수태 박사 2003/08/05 세계일보
109 "사라지는 우리말글 되살리고 싶어" 이정희씨 2003/07/25 한국경제
108 “초등학교 국어책 30곳에 오류” 시정요구 정순열 씨 2003/06/30 문화일보
107 “인터넷에서 한글문헌 퍼가세요” 2003/06/16 경향신문
106 한국어 사랑, 그길을 열어갑니다 2003/06/15 경향신문
105 “우리말 우리맛대로 가르쳐요” 2003/06/08 경향신문
104 이익섭 교수 국어학술상 수상 2003/06/02 한국일보
103 `우리말글 지킴이`에 신기남, 정의순씨 2003/05/30 연합뉴스
102 우리말글 사랑 놓지 못하는 이오덕씨 2003/05/26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