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1179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한글이 사람이다 글자가 예술이다

수묵화로 한글 재해석 ‘이용관展’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하지만 동양화가 이용관은 ‘기역 자’를 낫이 아니라 사람이 몸을 앞으로 구부린 모습으로 보았다. ‘ㅣ’는 사람이 서 있는 모습, ‘ㅡ’는 사람이 누워 있는 모습, ‘ㅎ’은 사람이 양 팔을 벌리고 빠른 속도로 달리는 모습이 된다.

작가는 한글의 자·모음 하나하나를 사람 몸이 다양하게 움직이는 모양으로 해석해 수묵화로 그렸다. 26일~5월 2일 서울 인사아트프라자 ‘이형아트센터’에서 열리는 개인전 ‘내 이름은 왜 이렇게 불렀을까?’에서 이런 작품들을 보여준다. 그는 “서예가들이 한글을 별로 쓰지 않는 이유는 한글 서체가 단순해 멋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한글서예 대가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니 점과 획에 생명력이 들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같은 글자도 붓을 세우는 정도와 붓에 힘을 주는 정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한글 서체만으로도 사람의 다양한 모습을 그리기에 충분합니다.”

하긴, 한글을 전혀 모르는 외국인들에게 우리 자·모음은 사물을 단순화한 그림처럼 보이지 않을까? 이런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작가는 양 손을 치켜 올린 사람, 춤추는 사람 등 동적인 이미지도 한글로 만들어냈다. 익숙한 글자가 새로운 디자인 요소가 됐다.

2006/04/25 조선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03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134> 할 리 없다, 할 수 있다, 할 법하다 2014/01/08 국제신문
402 [칼럼] 우리말, 국혼을 품고 있는 국학의 상징 2013/10/10 브레인월드 미디어
401 신조어, 너무 심하다 2013/10/03 제주일보
400 [도정 권상호의 국어야 놀자] <5> 열나는 여름, 열매 여는 여름, 열 문 여는 여름 2013/08/11 세계일보
399 맞춤법 한 번 까탈스럽다! 2013/07/12 경북매일
398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83> 장사와 상업; 파는 수준이 다르다 2013/07/03 국제신문
397 <문화스포츠 칼럼 - 김지연> 우리말로 학문하기 2013/06/19 헤럴드경제
396 영화 끝날 때 숱하게 나온 `번역 이미도`가 바로 접니다 2013/06/17 조선일보
395 [신동립 잡기노트]우리말, 이렇게 깊은 뜻이…레알? 2013/06/15 뉴시스
394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76> 두려움과 설렘 ; 떨림의 두 종류 2013/06/10 국제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