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1557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한글이 사람이다 글자가 예술이다

수묵화로 한글 재해석 ‘이용관展’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하지만 동양화가 이용관은 ‘기역 자’를 낫이 아니라 사람이 몸을 앞으로 구부린 모습으로 보았다. ‘ㅣ’는 사람이 서 있는 모습, ‘ㅡ’는 사람이 누워 있는 모습, ‘ㅎ’은 사람이 양 팔을 벌리고 빠른 속도로 달리는 모습이 된다.

작가는 한글의 자·모음 하나하나를 사람 몸이 다양하게 움직이는 모양으로 해석해 수묵화로 그렸다. 26일~5월 2일 서울 인사아트프라자 ‘이형아트센터’에서 열리는 개인전 ‘내 이름은 왜 이렇게 불렀을까?’에서 이런 작품들을 보여준다. 그는 “서예가들이 한글을 별로 쓰지 않는 이유는 한글 서체가 단순해 멋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한글서예 대가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니 점과 획에 생명력이 들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같은 글자도 붓을 세우는 정도와 붓에 힘을 주는 정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한글 서체만으로도 사람의 다양한 모습을 그리기에 충분합니다.”

하긴, 한글을 전혀 모르는 외국인들에게 우리 자·모음은 사물을 단순화한 그림처럼 보이지 않을까? 이런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작가는 양 손을 치켜 올린 사람, 춤추는 사람 등 동적인 이미지도 한글로 만들어냈다. 익숙한 글자가 새로운 디자인 요소가 됐다.

2006/04/25 조선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 [미당 서정주 타계] 미당 선생을 보내며 2000/12/25 국민일보
10 손보기 단국대 박물관장 세종성왕 603돌 대상 수상 2000/12/18 국민일보
9 국어학자 이윤재 2000/12/07 한국일보
8 [33회 한국일보 문학상] 하성란씨 수상소감 2000/12/06 한국일보
7 [1318마당] 신지혜 오륜중1 2000/12/05 한국일보
6 학자 정인지 세상 떠남 2000/11/24 소년한국일보
5 언어철학자 미국 존 설 교수 내한 강연 2000/11/22 중앙일보
4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南洪吉 포항공대 교수 2000/11/17 서울경제
3 11월의 우리 말글 지킴이 2000/11/16 동아일보
2 경주지역 한글학자 최햇빛옹 2000/11/05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