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80631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70년 친구 운보 영전에] 청강 김영기
내가 운보 인형(仁兄)을 처음 만나 알게 된 것은 1929년께의 일이다. 그 때 운보형은 16세이고 나는 19세였다.
그림 공부를 하겠다고 내 아버님(海岡)을 뵈러 왔을 때였다. 그 때 운보형과 맺은 인연이 어언 70여년을 이어온 것이다.
운보형은 이당(以堂) 김은호 화백에게 입문하여 화도(畵道)에 정진했다. 이후 그는 선전(鮮展)에 입선.특선을 여러번 하여 그의 명성이 세상에 크게 알려졌다.
우리 민족이 일제에서 해방되고 국전(國展)이 생겼으나 이 국전의 주도권을 잡고 있던 춘곡(春谷) 고희동씨가 운보는 이당 계통이고, 나는 해강 파라고 하여 국전에 등용을 시켜주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들 동양화단의 중견작가들은 함께 단체를 만들어 단결 활동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 단체가 백양회(白陽會)고 그 첫 회장을 운보형이 맡았다.
운보형은 원래 화명(號)을 `운포(雲圃)` 라고 써 왔으나 일제에서 해방됐다는 뜻에서 `圃` 자의 테두리 `口` 자를 떼어버리고 `운보(雲甫)` 로 고쳐 쓴다고 내게 말하기도 했다.
60대 초반 필자가 백양회를 맡던 당시 대만과 홍콩에서 전시회를 열어 호평받던 일도 기억난다.
당시 현지 평단에서는 "한국 작가의 작품이 중국 화풍도 아니고 일본 화풍과도 다른 한국민족의 품성과 경향을 잘 나타낸 예술" 이라고 크게 칭찬했다.
그 때 운보형은 수백마리의 게를 그렸고 나는 새우떼를 그려 출품했다.
운보형은 같은 화가인 우향 박래현과 결혼한 뒤 새 반려자의 도움으로 언어소통이 나아지면서 예술과 사회 활동에 보다 큰 진전을 보았다.
운보형은 밤에 잘 때는 그가 부인 손바닥에 글자를 써서 자기 의사를 전달한다고 내게 말해주기도 했다.
원래 성격이 소탈하고 순박한 그는 우리들 같은 작가끼리 농담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니었다. 하지만 말이 그림 이야기에 미치면 일사천리 식으로 떠들어대곤 하였다.
이당을 사사했지만 원래 활달하고 대담한 성격의 그는 이당의 연미(軟美)한 필치와는 달리 힘차고 대담한 필치로 그 나름의 예술을 이룩했다.
이제 운보형은 우리 화단에 큰 업적을 세우고 한국 미술사에 빛나는 예술을 완성하고 유명을 달리하였다. 이제 먼저 가신 저 세상에서 고이 잠드소서.
청강 김영기(晴江 金永基)
2001/01/26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2
틀리기 쉬운 우리말 메일로 받아 보세요
2005/10/07
연합뉴스
181
기획처 장관의 각별한 한글 칭찬
2005/10/07
연합뉴스
180
한글날 의미 갈수록 퇴색 안타깝다
2005/10/07
세계일보
179
한글 배우니 한국인 뿌리 느껴요
2005/10/07
세계일보
178
한글 발전과 사랑에 대한 공로
2005/10/06
부산일보
177
한글날 559돌, '토종'보다 진한 한글 사랑
2005/10/06
세계일보
176
한글발전 유공자-권혁철 교수 세종문화상
2005/10/06
문화일보
175
한글맞춤법 프로그램 발전 공로로 상받는 권혁철 교수
2005/10/06
한겨레
174
‘한글지키기‘한평생 최현배선생의 삶
2005/10/01
문화일보
173
세종대왕은 '(주)조선'의 대표이사였다
2005/09/30
조선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40/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