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59012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김계곤 회장 `책상머리에 사전 한권 `

“아무리 디지털 시대라 해도 사전은 역시 책상머리에 두고 이리저리 찾아봐야 제 맛이지요. ‘우리말 큰사전’이 너무 크고 무겁게 느껴지시는 분들에게 ‘우리말 사전’을 권합니다.”

김계곤(金桂坤·80·사진) 한글학회 회장은 이렇게 ‘우리말 사전’(글나래) 출간의 의미를 밝혔다. 15만여 개의 어휘를 수록한 이 사전은 한글학회가 58년 만에 펴낸 중사전이다.

한글학회는 1957년 한글사전의 뼈대를 구축한 ‘조선말 큰사전’(전 6권)을 완간한 뒤 1년 후 중사전을 펴냈고 2년 뒤 다시 소사전을 펴냈다. 큰사전이 우리말 어휘와 문법 체계의 거대한 저수지라면 중사전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동네 우물, 소사전은 휴대가 간편한 물통이라 할 수 있다.

“사전을 한 번 내려면 맞춤법 통일안을 마련하고, 토박이말 중에서 표준말을 선정하고, 들온말(외래어)의 표기법을 결정하는 방대한 작업이 이뤄져야 합니다. 이번 사전은 한글학회에서 ‘조선말 큰사전’ 발간 이후 35년 만에 제작한 큰사전인 1992년의 ‘우리말 큰사전’(전 4권)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우리말 사전’은 대중화를 위해 한글학회에서 양보한 부분이 많은 사전이다. 무엇보다 한글학회가 품사 용어로 고집해 온 이름씨, 그림씨, 움직씨 대신에 명사, 형용사, 동사 등 대중에게 익숙한 한자말 품사 용어를 수용했다.

주시경-최현배-허웅 선생으로 이어지는 한글학회의 적통을 계승한 김 회장은 내년 한글학회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기념관 건립과 학회 100년사 편집, 국제학술회의 준비로 분주하다고 했다. 국내 학회 중 100주년을 맞는 단체는 한글학회가 처음이다.

2006/05/04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3 우리말 우리글 우리가 지켜야 2014/02/16 충북일보
412 [임철순의 즐거운 세상] 오타는 즐거워 ① 2014/02/13 한국일보
411 `과식=구토`라는 표준국어대사전의 기발한 해석 2014/02/12 컬쳐투데이
410 기분 나쁜 `아줌마!` 대신 부드럽게 `아주머니` 해보세요 2014/02/11 동아일보
409 `아라`가 `바다`의 순우리말? 언론이 만든 잘못된 표현 2014/01/29 컬처투데이
408 글자와 다르게 소리나는 우리말 배워요 2014/01/28 대전일보
407 <살려 쓸 우리말> ① `삐끼`는 `여리꾼`으로 2014/01/27 한국교육신문
406 [임철순의 즐거운 세상] 가장 긴 단어 2014/01/23 한국일보
405 [안도현의 발견] 우리말사전 2014/01/19 한겨레
404 [문화와 삶]커피 나오셨습니다 2014/01/17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