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741333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세종, 오백년 문화의 터전을 일구다

한겨레원형질 민족문화상징 100 ⑨ 세종

말은 사람과 사람끼리 뜻을 통하는 것이고 글은 말을 담는 그릇이다. 말과 글의 소중함은 그것 없이 지내지 않고서는 쉽게 깨닫지 못한다. 일제 말 우리 말과 글을 쓰지 못하던 시대를 살던 사람만큼 절실하게 우리 말과 글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는 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한글을 만든 세종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이유다.

새 조선왕조가 제대로 자리잡기까지는 반세기가 필요했다. 태종이 강화시킨 왕권의 터전 위에서 세종(1418~1450 재위)은 든든한 반석을 깔았다. 집현전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여 학문을 연마하고 백성들을 위한 시책을 강구했다. 이를 알리기 위해 책을 펴냈고, 갑인자 등의 활자 제조를 직접 지휘했다. 이런 빼어난 자질과 관심의 결정체가 세종 25년(1443) 만든 한글이다.

자기네 글을 언제 어떻게 만들었다는 확실한 기록을 가진 나라는 거의 없다. 그런데 세종은 창제 3년 뒤 펴낸 〈훈민정음〉에 이런 내용들을 고스란히 담았다. 백성들이 쉽게 익혀 쓰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라는 창제 의도가 너무도 분명하다.

또한 세종대에는 의례와 제도를 닦아 유교정치의 기틀을 세웠다. 유교 전적에서 역사 음운 지리 천문 의학 농서에 이르는 방대한 편찬 사업도 이뤘다. 과학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농업, 의약기술, 음악, 법제가 정리되었으며 국토를 넓히고 세제를 개편해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세종의 관심은 세세한 분야까지 미쳤다. 관청 노비가 아이를 낳으면 산전 30일 산후 100일의 출산 휴가를 주었고, 남편에게도 30일간 휴가를 장려했다. 지금부터 500년도 더 전의 일이다.

세종은 이 모든 것을 추진한 주체였다. 왕조 사회에서 모든 공적은 국왕에게 돌아가는 경향이 있으나 세종은 후대 정조처럼 스스로 뛰어난 역량을 지닌 학자였다. 유교정치에 대한 높은 소양이 있었고 역사·문화적 통찰력과 판단력을 갖추었다. 무엇보다 중국 문화에 경도되지 않는 주체성을 바탕으로 창조적 역량을 한데모아 추진한 힘과 신념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역사에 남는 일은 아무에게나 기회가 오지 않는다. 능력이 출중해도 여건이 갖춰지지 않으면 목표를 이룰 수 없다. 여건이 갖춰져도 빼어난 역량이 없으면 엮지 못한다. 새 국가 건설의 활력과 세종의 출중한 자질이 어울려 문화 성세를 이룰 수 있었다. 세종만의 업적이 아닌 국가 구성원 모두의 역량이 한데 모여 이룬 일이었다.

시대는 영웅을 낳고 영웅은 시대를 이끈다. 젊은 집현전 학자에게 보였던 뜨거운 배려와 어려운 이들에게 미쳤던 자상한 염려, 이런 사람됨이 사회적 여건과 조화를 이루어 민족 문화의 터전이 된 지성은 꽃을 피울 수 있었다.

정병삼

숙명여대 교수 ·한국사학

2006/09/22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