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06876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명복을 빕니다]안병희 초대 국립국어원장

초대 국립국어연구원(현 국립국어원) 원장을 지낸 안병희(사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24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3세.

1933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한 뒤 건국대 교수를 거쳐 1968년부터 서울대에서 30여 년간 국어학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이희승 방종현 이숭녕 등 국어학 1세대의 직계 제자로 꼽히는 고인은 ‘국어사연구’ ‘국어사연구자료’ 등 10여 권의 저서와 ‘15세기 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를 비롯한 120여 편의 국어학 서지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며 국어문법체계 확립에 기여했다.

고인은 학술원 산하 국립국어연구소를 어문정책 전담국가기관인 국립국어연구원으로 승격시키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으며 1, 2대 원장을 지냈다. 1999년 완간된 표준국어대사전은 고인이 원장으로 있을 때 편찬에 들어갔다. 국어학회장과 한국서지학회장을 지냈으며 월봉저작상, 3·1문화상, 세종문화상, 동숭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이돈숙 씨와 장훈(내과의사) 씨 등 2남 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영안실, 발인은 26일 오전 7시. 장지는 충북 음성군 대지공원. 02-2072-2014

2006/10/25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84 [한자로읽는세상이야기]문장(文章) 2014/12/08 새전북신문
483 <우리말로 깨닫다> 받침의 비밀 2014/11/21 재외동포신문
482 일제가 탄압한 위대한 선열들, 박용규 `조선어학회 33인` 2014/11/15 뉴시스
481 `한글만큼 아름다운 글자 또 있을까?` 2014/10/10 정책브리핑
480 일본 사전 베끼는 <표준국어대사전>... `부끄럽습니다` 2014/10/10 오마이뉴스
479 원룸과 단칸방 2014/10/10 경북일보
478 한글사랑은 연간행사?…한글날에만 쏟아지는 관심 2014/10/10 뉴시스
477 [초동여담]한글 창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14/10/08 아시아경제
476 [한준희의 교육 느낌표] 568돌 한글날에 생각하다 2014/10/07 매일신문
475 우리말과 글을 바르게 사용하자- 류성기(진주교대 국어교육과 교수) 2014/10/07 경남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