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79088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잊혀진 한글학자 `이극로 선생` 저서 발견

한글날을 맞이하며 분단의 아픔 속에서 잊혀졌던 한글학자 이극로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특히 그가 독일에서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며 발간했던 저서가 최근 발견되면서 한글학계 및 역사학계의 관심도 높아진 상태. 현 국어사전의 시초가 된 ‘조선말 큰 사전’ 편찬을 주도하고 해외에 일제의 만행을 알리는 데 노력했던, 하지만 월북학자란 ‘주홍글씨’ 속에 잊혀져 갔던 이극로. 사상문제로 역사 속에서 지워버리기엔 그가 한국사에 남긴 족적이 너무나 크다.

이극로기념사업회를 추진 중인 박용규(46?선린인터넷고 교사) 씨는 9일 “이극로 선생의 행적을 연구한 끝에 그가 독일에서 발간한 저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한 조선의 독립투쟁(1927)’이 최근 발견됐다”며 “조선의 독립을 이루고 일제의 만행을 해외에 알리려 했다는 선생의 행적을 보여주는 증거이기에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극로 관련 논문을 준비 중이며 지난 2005년 ‘이극로 평전’을 출간하기도 한 박씨는 “독립운동 뿐만 아니라 한글수호운동에서 이극로 선생의 활동은 주도적이었다”고 강조했다.

이극로(1893?1978)는 ‘잊혀진 한글학자’다. 경남 의령 출신으로 1927년 독일 베를린대를 졸업한 후 귀국해 한글운동에 앞장섰고 8?15 광복 후에는 조선어학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현 국어사전의 기원이 되는 ‘조선말 큰 사전’을 편찬할 때에는 관련 기금 모금을 담당하는 등 핵심적인 인물로 활약했다. 하지만 1948년 월북, 학계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이후 역사 속에서 잊혀진 인물이 됐다.

박씨가 최근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은 ‘이극로 생가 복원 문제’다. 지난 8월 10일 포털사이트 다음에서도 ‘이극로 생가를 복원해주세요’란 청원 글이 올라와 잠시 화제가 된 바 있다.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두곡리에 위치한 이극로 생가는 현재 조카인 이필세 씨가 지키고 있다.

박씨는 “오랜 기간 보수를 받지 못해 건물 곳곳에서 붕괴 위험이 있는 실정’이라며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인물의 생가가 이렇게 방치돼 있는 건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홍명희 선생 역시 사상 문제를 떠나 이젠 역사적으로 재조명 받고 있다”며 “낡은 사상문제에 갇혀 한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을 이대로 지워버린다는 것은 후세들에게도 부끄러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2008/10/09 헤럴드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 [미당 서정주 타계] 미당 선생을 보내며 2000/12/25 국민일보
10 손보기 단국대 박물관장 세종성왕 603돌 대상 수상 2000/12/18 국민일보
9 국어학자 이윤재 2000/12/07 한국일보
8 [33회 한국일보 문학상] 하성란씨 수상소감 2000/12/06 한국일보
7 [1318마당] 신지혜 오륜중1 2000/12/05 한국일보
6 학자 정인지 세상 떠남 2000/11/24 소년한국일보
5 언어철학자 미국 존 설 교수 내한 강연 2000/11/22 중앙일보
4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南洪吉 포항공대 교수 2000/11/17 서울경제
3 11월의 우리 말글 지킴이 2000/11/16 동아일보
2 경주지역 한글학자 최햇빛옹 2000/11/05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