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038022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오늘의 역사 3월 23일] 한글 학자 최현배 세상 떠남
[오늘의 역사 3월 23일] 한글 학자 최현배 세상 떠남
☆한글 학자 최현배 세상 떠남 : 한글 학자(學者)인 외솔 최현배 박사가 1970년 오늘 세상을 떠났다. 경남 울산에서 1894년에 태어난 그는, 경성고등보통학교(고등학교)에 다니던 중 주시경 선생의 조선어 강습원에서 한글과 문법을 배웠다. 일본 동경 제국 대학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연세대학교 부총장ㆍ한글학회 대표이사ㆍ학술원 회원 등을 지냈다. 50여 년 동안 한글발전과 수호에 힘썼으며 한글 문법 체계를 세웠다.
2001/03/22 소년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2
사도스키 한국어로 말한 `드디어 100%`
2011/05/12
스포츠조선
261
`한글사랑 인형극단` 창단 관심
2011/05/10
뉴시스
260
[포럼] 방송으로 본 우리말의 어려움과 즐거움
2011/05/09
수원일보
259
한국하면 `토픽` 떠올리게 해야죠
2011/05/02
조선일보
258
[독자마당] `야채`가 아니라 `채소`입니다
2011/04/21
조선일보
257
한글점자 창안 박두성선생
2011/04/15
경인일보
256
톡톡 다문화 / 사랑
2011/04/08
농민신문
255
[여적]번역 오류
2011/04/05
경향신문
254
돌무당
2011/03/22
독서신문
253
`표현 만점이어도 맞춤법 틀리면 글쓰기 빵점!`
2011/03/09
조선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2/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