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753224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가람 이병기
일제말기에 오면 국학연구자들 가운데도 변절자가 많이 생긴다.
문학가는 감옥에도 가기전에 일제를 찬양하는 글을 썼고 국문학자 국사학자들도 변절하거나 몸을 사린 인물이 많았다.
그런데 국어학자들은 변절자가 거의 없었다.
42년 조선어학회사건에서 보듯 고문에 못이겨 죽을지언정 누구 하나 변절하지 않았다.
한글을 비롯한 민족문화에 대한 애정과 신념이 그만큼 강했다는 얘기다.
가람 이병기(1891-1968)도 그 중 한 사람이다.
전북 익산에서 태어난 그는 한학을 한 뒤,뒤늦게 한성사범학교를 졸업했다.
주시경의 조선어강습에 나간 것이 인연이 돼 한글운동에도 앞장섰다가 조선어학회사건때는 1년 가까이 옥고를 치뤘다.
국학관계문헌 수집광이었던 가람은 교사생활을 하면서 학문보다는 시조창작을 위해 국문학을 섭렵했다.
전통시조의 연구결과를 신문,잡지에 발표하면서 시조의 혁신을 창작을 통해 보여주려 했던 그는 39년 "가람시조집"을 내놓는다.
"나의 무릎을 베고 마지막 누우시던 날/쓰린 괴로움을 말도 차마 못하시고/매었던 옷고름 풀고 가슴 내어 뵈더이다"
시조집에 실린 "젖"의 첫 련은 고정된 주제를 벗어나 형식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느낀 그대로를 드러내는 그의 시조혁신의 내용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어눌한 듯한 순 우리말로 자연스러우면서도 절실한 내용을 담았다.
시인 정지용이 발문에서 "이병기에 이르러서 시조가 시인을 만났다"고 극찬한 것도 아마 그런 의미가 아닌가 싶다.
가람의 주된 공적은 시조의 현대시풍 확립이지만 서울대 등에 재직하면서 국문학과 서지학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한중록""인현왕후전""춘향가"를 비롯 신재효의 판소리 등을 발굴,소개한 공로는 자못 크다.
가람은 술복 문복 제자복이 있는 삼복지인이라고 자처할 만큼 술과 시와 제자를 사랑했다.
일제때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단한편의 친일문장을 남기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6월은 문화부가 정한 시조시인 이병기를 기리는 달 이다.
오늘날 시조가 내실을 저버리고 말재주나 부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뒤돌아보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2001/06/10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1
판소리 수호자 신재효-전북고창
2001/06/05
한국일보
30
가람 이병기
2001/06/05
소년한국일보
29
6월 문화인물에 가람 이병기선생
2001/06/05
동아일보
28
최만리는 ‘역사의 죄인’인가
2001/04/20
동아일보
27
언어ㆍ지체 장애인 서충원씨
2001/04/17
서울경제
26
우리것으로 사유하기
2001/04/04
중앙일보
25
교수부인들이 우리말 ’전도사’로
2001/04/03
국민일보
24
[오늘의 역사 3월 23일] 한글 학자 최현배 세상 떠남
2001/03/22
소년한국일보
23
[인터뷰] 하워드 A. 그로스 스피치웍스 부사장
2001/03/07
서울경제
22
사이버한글 지킴이; 개그맨 정재환
2001/02/25
동아일보
제목
◀
51
52
53
54
55
56
57
58
▶
55/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