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7540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周時經

1914년 7월27일 국어학자 주시경이 타계했다. 향년 38세.

주시경의 호는 한힌샘이다. 황해도 평산 출생이다. 주시경은 20세기에 개화한 모든 유파의 국어학과 국어운동의 맨앞에 우뚝 서 있다.

한힌샘이라는 호와 그의 짧은 삶 속에는 민족주의라는 고갱이가 있었다.

그리고 그가 살았던 시대와 공간은 민족주의에 일정한 진보성을 부여했다.

그의 언어민족주의는 우선 문자체계로서 한자를 버리고 한글을 쓰자는 주장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순한글 신문인 독립신문에서 교열을 보았고, 이 신문에 네 차례 기고한 ‘국문론’을통해 소리글자인 한글이 뜻글자인 한자에 견주어 훨씬 더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주시경은 거기서 더 나아가 국어에 들어온 한자어를 되도록 고유어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그는 일본에서 한자어로 번역된 문법 용어를 무시하고 임(명사) 엇(형용사) 움(동사) 언(관사)억(부사) 놀(감탄사) 겻(조사) 잇(접속사) 끗(종지사) 등의 토박이말 용어를 만들어 자신의 문법체계를 세웠다.

표기체계로서 한자 대신에 한글을 쓰자는 그의 주장은 해방 뒤 북한에서 전면적으로 실현되었고, 남한에서도 일부 학술서적을 제외하고는 거의 실현되었다.

국어 어휘 안의 한자어를 고유어로 대체하자는 그의 주장은 북한에서 이른바 어휘정리사업을 통한 말다듬기로 구체화했고, 남한에서는 한글학회를 중심으로 한 국어순화운동으로 이어졌다.

너무 이르게 세상을 버린 탓에 주시경은 큰 학자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그가 조선어 강습원의 일요 국어 강습을 통해 배출한 장지영 김윤경 김두봉 최현배 등의 제자들은 뒷날 국어학의 대가들로 자라 민족어의 파수를 맡았다.

세종이 봉건시대의 ‘훈민정음’을 만들어냈다면, 주시경은 시민사회의‘한글’을 만들어냈다.

2001/07/26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2 `부자사전`이 아니라 `부사사전`이요 2007/01/08 한겨레
221 국내 최고 한글 금속활자 발견 2007/01/05 부산일보
220 남북 언어 이질 현상 극복 시급해 2006/12/25 세계일보
219 말글사랑 외길 2006/12/25 미디어오늘
218 (인터뷰) 우리말 연구가 임무출씨 2006/11/11 매일신문
217 국어는 국가의 품위 … 지도자들이 먼저 훼손 2006/10/30 중앙일보
216 [명복을 빕니다]안병희 초대 국립국어원장 2006/10/25 동아일보
215 고은 시인 이번에도 `쓴잔` 2006/10/13 세계일보
214 한글은 한국 알리는 우수한 꾸림정보 2006/10/12 미디어오늘
213 김운기씨 `국어교과서 박물관 꼭 세우고 싶어요` 2006/10/08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