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871706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李克魯
1893년 8월28일 국어학자 이극로가 경남 의령군 지정면 두곡리에서 태어났다. 1978년 평양에서 몰(歿).
이극로의 호는 고루다.이극로든 고루든 남한의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귀에 선 이름이다. 그러나 그는 1930년대와 1940년대의 저명한 국어학자이자 국어운동가이고,20세기 우리 민족운동사에 굵은 획으로 기록된 조선어학회사건의 ‘주모자’다.
그가 자신의 학문적ㆍ사회적ㆍ자연적 삶을 1940년대로 마감한 것은 아니었지만, 분단은 그의 이름을 민족사의 반쪽 부분에서 솎아내 버렸다.
그가 건민회 위원장의 자격으로 1948년 4월 ‘남북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에참석하기 위해 평양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그 곳에 남아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문학 연구소장으로 있으며 언어규범화 운동인 문화어운동을 주도했다.
또 조국전선 중앙위원회 의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양강도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등 정치적 감투를 쓰기도 했다.
이극로는 베를린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파리대학과 런던대학에서 음성학을 연구한 뒤 1929년 귀국해 조선어 연구회에 가입했다.
조선어 연구회는 한힌샘 주시경의 제자들을 주축으로 1921년에 만들어진 국어학ㆍ국어운동 단체다.
한글학회의 기원인 조선어 연구회는 1931년에 조선어 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는데,이극로는 간사장으로서 이 학회를 이끌며 조선어 사전 편찬, 한글맞춤법 제정, 외래어 표기, 표준어 사정 등에 간여했다.
1942년 일제가 민족운동에 대한 탄압의 일환으로 조작해낸 ‘조선어학회사건’에서 그는 모진 고문 끝에 6년 형을 선고받았다. 그가 함흥 형무소의 옥문을 나온 것은 해방 이튿날이었다. 이제는 그의 이름을 복원시킬 때다.
2001/08/27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2
타계한 김춘수 시인 시세계
2004/11/29
한겨레
161
춘천교대 리의도 교수
2004/11/08
강원일보
160
세종대왕 ‘세계 과학 통치자
2004/10/10
경향신문
159
경원대 국문학과 이광정 교수
2004/10/10
동아일보
158
사투리는 표준어 들러리 아닌 민족문화
2004/10/08
매일신문
157
25년 우리말 연구해 낸 책
2004/10/07
파이낸셜뉴스
156
`제 이름은 김온누리빛모아사름한가하`
2004/10/06
서울신문
155
사투리 지역뉴스 ‘리장닷컴’운영 이대흠 시인
2004/10/04
경향신문
154
10월 문화인물 `최항선생 한글사랑 백일장`
2004/09/29
뉴시스
153
열린 국어정책’ 국립국어연구원 남기심 원장
2004/08/24
동아일보
제목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42/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