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808583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9월의 문화인물에 허균.허난설헌
문화관광부는 28일 조선시대의 오누이 문인인 허균(許筠.1569-1618)과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을 9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했다.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의 저자인 교산(蛟山) 허균은 이미 400여년 전에 평등사회, 개방사회, 국제사회를 꿈꾸며 조선 중기 당시의 시대적 한계와 사상의 획실성에 반기를 든 지식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부패한 정치와 잘못된 제도를 실천적으로 개혁하려 했을 뿐 아니라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며 오직 두려워할만한 자는 백성 뿐"이라고 갈파하며 바른 정치를 이끌어 나갈 호민(豪民)인 민중이 힘을 보여줄 것을 권고했다.
그의 누이인 난설헌 허초희는 여성의 자유로운 창작활동이 허용되지 않았던 시대에 탁월한 시상을 펼쳤던 시인으로 27세에 요절했지만 사후에 나온 213수의 시집으로 대표적인 조선조의 여성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문화부는 두 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고향인 강원도 강릉에서 허균.허난설헌 국제학술대회, 홍길동 만화그리기, 홍길동 가장행렬(이상 9월 22일), 홍길동 인형극전, 허균.허난설헌 백일장(23일) 등의 기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2001/08/28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1
"반한감정 한국말 사랑으로 승화"
2002/10/21
스포츠투데이
80
한글 잊지 않으려 신문 만드는 전혜란씨 가족
2002/10/14
국민일보
79
24회 외솔상 2명 선정
2002/10/14
국민일보
78
“케케묵은, 그러나 아름다운…”
2002/10/09
한겨레21
77
순우리말 이름 부르기도 듣기도 좋아요
2002/10/08
연합뉴스
76
신세대 언어 `이모티콘` 만드는 여자 세종대왕
2002/08/19
굿데이
75
"한국의 情을 가르치지요"
2002/08/18
한국일보
74
“우리말 지키기 얼마나 노력했나”
2002/08/14
국민일보
73
"배움의 등불"
2002/08/11
한국일보
72
손호민 교수 “美정부 한국어 교육에 적극 지원”
2002/08/07
동아일보
제목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0/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