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755830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9월의 문화인물에 허균.허난설헌
문화관광부는 28일 조선시대의 오누이 문인인 허균(許筠.1569-1618)과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을 9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했다.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의 저자인 교산(蛟山) 허균은 이미 400여년 전에 평등사회, 개방사회, 국제사회를 꿈꾸며 조선 중기 당시의 시대적 한계와 사상의 획실성에 반기를 든 지식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부패한 정치와 잘못된 제도를 실천적으로 개혁하려 했을 뿐 아니라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며 오직 두려워할만한 자는 백성 뿐"이라고 갈파하며 바른 정치를 이끌어 나갈 호민(豪民)인 민중이 힘을 보여줄 것을 권고했다.
그의 누이인 난설헌 허초희는 여성의 자유로운 창작활동이 허용되지 않았던 시대에 탁월한 시상을 펼쳤던 시인으로 27세에 요절했지만 사후에 나온 213수의 시집으로 대표적인 조선조의 여성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문화부는 두 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고향인 강원도 강릉에서 허균.허난설헌 국제학술대회, 홍길동 만화그리기, 홍길동 가장행렬(이상 9월 22일), 홍길동 인형극전, 허균.허난설헌 백일장(23일) 등의 기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2001/08/28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
[미당 서정주 타계] 미당 선생을 보내며
2000/12/25
국민일보
10
손보기 단국대 박물관장 세종성왕 603돌 대상 수상
2000/12/18
국민일보
9
국어학자 이윤재
2000/12/07
한국일보
8
[33회 한국일보 문학상] 하성란씨 수상소감
2000/12/06
한국일보
7
[1318마당] 신지혜 오륜중1
2000/12/05
한국일보
6
학자 정인지 세상 떠남
2000/11/24
소년한국일보
5
언어철학자 미국 존 설 교수 내한 강연
2000/11/22
중앙일보
4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南洪吉 포항공대 교수
2000/11/17
서울경제
3
11월의 우리 말글 지킴이
2000/11/16
동아일보
2
경주지역 한글학자 최햇빛옹
2000/11/05
중앙일보
제목
◀
51
52
53
54
55
56
57
58
▶
57/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