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9137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오늘속으로(11월27일) 李熙昇

1989년 11월27일 국어학자 이희승이 93세로 타계했다.

이희승의 호는 일석(一石)이다. 이 일석이라는 호를 빗대 그를 아인슈타인(독일어로 ‘돌 하나’라는 뜻) 박사라고 부르는 사람도 더러 있었다.

일석은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 전문학교에서 가르쳤다.

1942년 일제가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터뜨린 ‘조선어학회 사건’에연루돼 해방 이튿날까지 감옥살이를했다. 해방 뒤에는 줄곧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일석은 외솔 최현배와함께 일제 시대와 해방 뒤의 국어학계에서 가장 큰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이었다.

그들은 각각 이른바 연전파(연희전문파)와 성대파(경성제대파)의 수장으로서 국어학의 두 흐름을 주도했다.

한자 혼용 문제를 비롯해 몇 가지 점에서 이 두 사람은 견해를 달리 했지만, 그것이 그들의 우정에 장애가 되지는않았다.

국어학쪽의 업적에서는 일석이 외솔에게 미치지 못하는 바가 있었다. 그러나 일석은 이화여전 시절부터 문학을 가르친 데서도 드러나듯, 국어학자이면서도 문인을 겸했다.

일석은 또 군사독재정권에 대해 꼿꼿했던 몇 안 되는 선비 가운데 하나이기도 했다.

일석의 ‘추삼제(秋三題)’는가을과 관련된 주제 세 개를 시조로 읊은것이다.

우선 벽공(碧空).

“손톱으로 툭 튀기면/ 쨍 하고 금이 갈 듯// 새파랗게 고인 물이/ 만지면출렁일 듯// 저렇게 청정무구를/ 드리우고 있건만.”

다음은 낙엽.

“시간에 매달려/ 사색에 지친 몸이// 정적을 타고 내려/ 대지에 앉아보니/공간을 바꾼 탓인가/ 방랑길이 멀구나.”

끝으로 남창(南窓).

“햇살이 쏟아져서/ 창에 서려 스며드니// 동공이 부시도록/ 머릿속이 쇄락해라//이렇듯 명창청복(明窓淸福)을/ 분에 겹게 누림은.”

2001/11/26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2 `고유한 우리말 적극 살려쓰자`<北언어학자> 2006/05/11 연합뉴스
201 김계곤 회장 `책상머리에 사전 한권 ` 2006/05/04 동아일보
200 한글은 우수한 문자 2006/05/02 중앙일보
199 한국어 알리기 나선 한국홍보 전도사 서경덕씨 2006/05/02 연합뉴스
198 [말들의 풍경] <8> 이오덕의 `우리글 바로쓰기` 2006/04/25 한국일보
197 한글이 사람이다 글자가 예술이다 2006/04/25 조선일보
196 [말들의 풍경] <6> 외래어와의 聖戰 2006/04/11 한국일보
195 `유명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 보라` 2006/04/10 조선일보
194 우리글 지킴이 이수열 솔애울 국어순화연구소장 2006/04/01 동아일보
193 남아공학교서 첫 한국어 교육 이상훈 목사 2006/03/31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