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54359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방송]"입양아에 모국문화의 향기를 가르쳐요"

세계 각지의 한국인을 만나보는 KBS1 `한민족 리포트`(밤 12시)는 4일 `엄마라는 이름으로-덴마크 이미림`편에서 덴마크로 입양된 50여명의 한국인과 그들에게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이미림씨(46)를 소개한다.
매주 월요일 오후 덴마크 코펜하겐의 한국식당 `한국의 집`은 한국어수업을 받으러 온 50여명의 한국계 입양인들로 붐빈다. 그 중에는 수업에 못 온 한국인 여자친구를 대신해 참석한 덴마크인 남자친구도 있다.

모든 수업의 교사는 식당 주인 이미림씨다. `한국의 집`에 들어올 때는 누구나 고무신을 신어야 한다. 이곳에서는 한글 수업은 물론 한국 영화보기, 한국 음식만들기, 다도회, 붓글씨 등 다양한 한국문화 체험이 펼쳐진다. 얼마 전 영화 `엽기적인 그녀`를 보다가 `엽기`라는 단어의 뜻을 덴마크어로 설명할 길이 없어 난감해하기도 했다.

제작진이 촬영을 나간 날 `한국의 집`에서 준비한 한국문화강좌의 주제는 `고스톱`. 이씨는 화투를 가르치는데 망설였지만 이것 역시 한국의 놀이문화라는 생각에 과감히 선택했다. 한국계 입양인들은 화투의 그림을 맞춰가며 점수를 계산하는데 시간가는 줄 모른다.

덴마크에 입양된 한국 아이들은 1만여명. 한국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가득하나 접할 기회가 거의 없는 이들에게 이씨가 12년째 한국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이씨는 덴마크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입양인들이 받는 소외감과 상처를 달래주는 `제3의 엄마`인 셈.

이씨는 “한국은 입양인들의 삶에 아무런 물질적 도움을 주지 못했지만이들의 마음은 한국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차 있다”면서 “이들이 조국을 미워하지 않고 조국의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는 게 감사할 따름이다”고 말한다.

2002/02/03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