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72095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오늘속으로] 소쉬르

1913년 2월22일 스위스의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56세로 작고했다. 소쉬르는 현대언어학의 산모라고 할 만한 사람이다.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언어학의 역사도 고대 그리스나 인도에까지 끌어올리자면 그러지 못할 것은 없지만, 그럴 경우에도 소쉬르라는 이름은 더없이 우뚝하다.

이 제네바 사람을 통해서야 언어학은 좁은 의미의 모더니티를 획득하고 20세기 후반에 구조주의라는 사다리를 통해 학문의 왕좌에 오를 발판을 얻었기 때문이다.

소쉬르의 사후에 그 제자인 샤를 발리와 알베르 세슈에가 편집한 `일반언어학강의`(1916)는 그 때까지의 언어학을 지배했던 낭만주의ㆍ역사주의ㆍ실증주의를 전복시키고 구조주의의 씨앗을 뿌렸다.

언어는 구체적 단위들의 대립(차이)을 기반으로 하는 가치들의 체계(소쉬르 후계자들의 용어로는 `구조`)라는 생각은 그 때까지의 언어관에 대한 혁명이었을 뿐만 아니라, 문화연구 신화학 인류학 사회학 역사학 등 20세기의 여러 인문사회과학이 새로운 방법적 틀을 빌려오는 원천이 되었다.

랑그/파롤, 시니피앙/시니피에, 형식/실체, 연합관계/통합관계/, 공시/통시 등 과학적언어학의 방법론적 기점이 된 대립쌍들의 개념이 확립된 것도 `일반언어학강의`에서였다.

언어학사 책에서 소쉬르가 차지하고 있는 만큼의 페이지를 할애받을 수 있는 언어학자는 아직 없다.

흔히 구조주의와 대립되는 것으로 여겨지되 크게 가르면 구조주의 언어학의 한 분파로도 볼 여지가 있는 생성문법의 창시자 노엄 촘스키같은 이가혹시 뒷날 소쉬르만큼의 평가를 받을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확실치는 않다.

소쉬르의 이론은 한 세기의 풍화작용을 이겨내며 활짝 피어났지만,촘스키의 이론은 그 화려한 역정에도 불구하고 아직 형성 중에 있기 때문이다.

2002/02/21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1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110 `우리말지킴이`로 한평생 국어연구원 전수태 박사 2003/08/05 세계일보
109 "사라지는 우리말글 되살리고 싶어" 이정희씨 2003/07/25 한국경제
108 “초등학교 국어책 30곳에 오류” 시정요구 정순열 씨 2003/06/30 문화일보
107 “인터넷에서 한글문헌 퍼가세요” 2003/06/16 경향신문
106 한국어 사랑, 그길을 열어갑니다 2003/06/15 경향신문
105 “우리말 우리맛대로 가르쳐요” 2003/06/08 경향신문
104 이익섭 교수 국어학술상 수상 2003/06/02 한국일보
103 `우리말글 지킴이`에 신기남, 정의순씨 2003/05/30 연합뉴스
102 우리말글 사랑 놓지 못하는 이오덕씨 2003/05/26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