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8856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동구권 출신 첫 한국어박사 안나 이자벨라

“다양하고 정교한 한국어의 모음체계에 매료됐습니다. 고국에 돌아가 폴란드내 한국어 연구와 교육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싶습니다”
동구권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폴란드인이 한국에서 한국어 박사학위를 따냈다.26일 서울대 졸업식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는 안나 이자벨라 파라돕스카씨(31·여).

동양에 대한 호기심으로 대학시절 한국어과에 문을 두드렸던 안나씨가 한국어 석사까지 마치게 된 데는 90년 당시 바르샤바대 초빙교수로 가 있던 서울대 이현복교수(65)의 도움이 컸다.

96년 서울대 언어학과 박사과정에 등록, 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했지만 낯선 이국땅에서의 유학생활이 쉽지 않았다. 논문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던 지난해에는 집에 도둑이 들어 돈 300만원과 함께 논문 파일이 들어있는 컴퓨터까지 털려 타향살이의 설움을 삼켜야 했고 사고로 부상도 입는 등 병치레도 끊이지 않았다.

모음 장단의 차이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고 ‘ㅔ’와 ‘ㅐ’ 발음을 구별 못해 실수한 적도 많다는 안나씨는 결국 6년만의 노력 끝에 한국어 박사학위를 받게 됐다.

이번 논문은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의 발음과 청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로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모음체계를 비교하고 폴란드인이 한국어 발음에서 겪는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안나씨는 앞으로 서울대 사범대학 부설 한국어 지도자 과정을 마친 뒤 귀국해 고국 강단에 설 예정이다.

안나씨는 “한국어 자음에 대한 연구를 비롯, 한국인과의 공동연구 등을 계속해 한국어 교육에도 힘쓸 것”이라며 “한국과 폴란드 간의 문화,언어 교류에 가교역할을 하고 싶다”고 유창한 한국말로 말했다.

2002/02/25 국민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2 `고유한 우리말 적극 살려쓰자`<北언어학자> 2006/05/11 연합뉴스
201 김계곤 회장 `책상머리에 사전 한권 ` 2006/05/04 동아일보
200 한글은 우수한 문자 2006/05/02 중앙일보
199 한국어 알리기 나선 한국홍보 전도사 서경덕씨 2006/05/02 연합뉴스
198 [말들의 풍경] <8> 이오덕의 `우리글 바로쓰기` 2006/04/25 한국일보
197 한글이 사람이다 글자가 예술이다 2006/04/25 조선일보
196 [말들의 풍경] <6> 외래어와의 聖戰 2006/04/11 한국일보
195 `유명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 보라` 2006/04/10 조선일보
194 우리글 지킴이 이수열 솔애울 국어순화연구소장 2006/04/01 동아일보
193 남아공학교서 첫 한국어 교육 이상훈 목사 2006/03/31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