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754895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6월의 문화인물 조지훈>

문화관광부는 청록파 시인 조지훈(趙芝薰, 1920-1968)을 6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했다.

본명이 동탁(東卓)인 조지훈은 1920년 경북 영양에서 태어나 엄격한 가풍에서 한학을 배우고 혜화전문학교를 졸업했다. 1939년 <고풍의상> <승무>, 1940년 <봉황수>로 『문장』지의 추천을 받아 문단에 데뷔했다.

시인으로서 그는 고전적 풍물을 소재로 우아하고 섬세한 민족정서를 노래했다.

박두진, 박목월과 함께 1946년 시집 <청록집>을 내 `청록파`로 불리게 됐다.

만해 한용운 등의 영향을 받아 지조를 중히 여긴 그는 민속학과 역사학에 천착했다. 조부 조인석과 부친 조헌영으로부터 한학과 절의를 배운 그는 불경과 참선을 평생 공부했고, 조선어학회 큰사전 원고를 정리하면서 국어학에도 빠져들었다.

광복이 되자 한글학회 국어교본 편찬원과 진단학회 국사교본 편찬원이 돼 최초의 국어, 국사교과서를 만드는 데 참여했다.

1952년 <풀잎단장>, 1956년 <조지훈 시선> 등 시집을 냈다. 자유당 정권 말기부터는 현실에 관심을 갖고 민권수호국민총연맹, 공명선거추진위원회 등의 활동에도 참여했다.

시집 <역사 앞에서>와 <지조론> 등은 이 무렵에 쓰여졌다. <지조론>은 자유당 말기 극도로 부패한 정치현실 속에서 친일파들이 과거에 대한 뉘우침 없이 정치일선에서 활동하고 사회지도층들이 변절을 일삼는 세태를 준열히 꾸짖은 명논설로 시인의 기개를 볼 수 있다.

4.19 교수시위단이었던 그는 `큰 일 위해 죽음을 공부하라-4월의 학생들에게`라는 고대신문 논설을 직접 써 고려대가 4.19의 선봉으로 나서는 데 역할을 했다.

1962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에 취임, <한국문화사 대계>를 기획했고 <한국문화사서설> <신라가요연구논고> <한국민족운동사> 등 논저를 남겼다.

민족문화연구소는 6월 15일 오전 10시 연구소 강당에서 `지훈문학상` 시상식을 갖는다. 21일 오후 8시 영양 문화체육센터에서는 그의 생애를 다룬 연극 `나빌레라`가 공연되며 22일 오후 3시와 4시 같은 장소에서 `지훈문학 강연회` `문학의 밤` 행사가 열린다.

2002/05/28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