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4535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1318마당] 신지혜 오륜중1

나는 올 2월말 한국을 떠난지 7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아버지가 말레이시아에서 선교사로 일해야 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생활을 시작하면서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이 됐다. 하지만 우리학교에는 귀국학생들을 위한 특별반인 "온누리반"이 있어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었다. 학교생활에 적응할 무렵 말레이시아와 다른 점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특히 딱딱한 선후배 관계가 그랬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선후배 관계가 여기처럼 엄격하지 않았다. 선배와 후배가 같이 노는 것이 하나도 이상하지 않았고 아침에 서로 만나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하이(Hi)"라고 인사하는 것이 너무도 자연스러웠다. 그런데 서울에서는 선배와 후배 사이가 차갑게 느껴졌다. 후배는 선배에게 꼭 존댓말을 써야 하고 마주치면 내가 그 사람을 알든 모르든 깍듯이 인사를 해야 했다. 또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불려가 야단을 맞을 수도 있다. 나는 이것이 한국의 권위적인 인간관계의 뿌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예절과 권위적 관계는 분명히 구분이 돼야 한다. 다음으로는 친구들의 언어생활에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나의 한국어 실력이 짧아서 그런지 몰라도 어느 것이 표준어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 예를 들어 "마니" "짱" "추카" "떴다" "글구"와 같은 것들이다. 물론 말레이시아에도 줄임말이나 은어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극히 일부 학생들이 사용할 뿐이지 여기처럼 대부분 학생들이 그런 말을 쓰지는 않는다. 한국에 와서 국어시간에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나 김영랑의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등 아름다운 한국의 시를 배웠을 때 받은 감동을 생각하면 이렇게 좋은 우리말을 놔두고 왜 그런 표현들을 쓰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한국학생들이 공부를 너무 많이 한다는 것이다. 이곳 친구들은 수업이 끝나면 모두 학원으로 달려간다. 말레이시아에서도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이 있지만 그들은 모두 음악이나 미술 등 특별한 것을 배우기 위해서이지 한국처럼 학교에서 배운 것을 또 다시 배우러 가지는 않는다. 그래서 한국친구들과 더 많이 놀지 못하는 것이 늘 아쉽다. 나는 내녕에 다시 해외에 나간다. 1년동안 나에게 좋은 추억을 많이 남겨준 친구들에게 고맙다. 그들이 보다 맑고 밝게 자라서 나중에 웃는 모습으로 다시 볼 수 있기를 빈다. 친구들아 안녕.

2000/12/05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2 `고유한 우리말 적극 살려쓰자`<北언어학자> 2006/05/11 연합뉴스
201 김계곤 회장 `책상머리에 사전 한권 ` 2006/05/04 동아일보
200 한글은 우수한 문자 2006/05/02 중앙일보
199 한국어 알리기 나선 한국홍보 전도사 서경덕씨 2006/05/02 연합뉴스
198 [말들의 풍경] <8> 이오덕의 `우리글 바로쓰기` 2006/04/25 한국일보
197 한글이 사람이다 글자가 예술이다 2006/04/25 조선일보
196 [말들의 풍경] <6> 외래어와의 聖戰 2006/04/11 한국일보
195 `유명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 보라` 2006/04/10 조선일보
194 우리글 지킴이 이수열 솔애울 국어순화연구소장 2006/04/01 동아일보
193 남아공학교서 첫 한국어 교육 이상훈 목사 2006/03/31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