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756430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백령도 해병부대 이선웅 상사 한문교실 열어
서해 최북단 섬인 백령도에서 현역 군인이 학생을 위한‘한문교실’을 열고 있다.
강사는 백령도 해병부대에 근무하는 이선웅(47)상사. 이 상사는 틈나는대로 다양한 분야의 공부를 해 한문지도사 등 교육관련 자격증을 7개나 갖고 있는 해병대의 ‘공부벌레’다.
그가 어린이들의 정서순화와 예절 교육을 위해 한문교실을 개설하고 싶어하자 섬내 유일한 사찰인 흑룡사측이 장소를 제공하면서 한문교실이 탄생했다.
7월 말부터 8월 말까지 주3회 2시간씩 열리는 이 한문교실에는 현재 50여 명의 학생과 주민이 참가하고 있다.
‘기초한자와의 만남’이란 주제로 ‘부수 이야기’ ‘한자와 우리생활’ ‘한자에 얽힌 고사성어’ ‘한글을 잘 쓰기 위한 한자의 활용’ 등을 단계별로 배우고 있다.
한문교실에 참가하고 있는 임종익군(11·북포초교 4년)은 “군인 아저씨가 재미있는 농담을 곁들인 강의를 해주니 한자가 재미있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자녀와 같이 한문교실에 참가중인 학부모 김미경씨(34·진촌리)도 “방학이 되면 아이들이 컴퓨터 게임으로 많은 시간을 보냈는데 가뜩이나 군복무에도 바쁠 현역군인이 한문뿐 아니라 예절까지 가르쳐줘 고맙기 이를 데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상사는 “어린이들의 경우 한글과 연계된 한자의 의미를 새롭게 깨우치는 과정을 통해 어휘력이 풍부해지고 감성이 깊어질 수 있다”며 “사실 처음에는 쑥스럽다는 생각에 머뭇거리기도 했지만 반응이 좋아 보람있다”고 말했다.
2002/08/06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42
1908년 시인 金起林 출생
2004/05/10
동아일보
141
의학용어 우리말 풀이 사전 낸 지제근 교수
2004/04/25
동아일보
140
이오덕 선생의 ‘마지막 말씀’
2004/04/20
국민일보
139
한글날 국경일 회복 주력
2004/03/16
경향신문
138
<연합인터뷰>홍윤표 연세대 교수
2004/02/04
연합뉴스
137
한국대표시를 노래로 만든 김현성씨
2004/01/28
한겨레신문
136
눈뫼 허웅
2004/01/27
조선일보
135
허웅 한글학회 이사장의 삶
2004/01/27
한겨레신문
134
전집 5권 펴내는 김춘수 시인
2004/01/25
조선일보
133
환갑 일본인의 ‘한글 삼매경’
2004/01/18
국민일보
제목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44/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