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78000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박영근씨 “말하는 법 모르는 요즘 아이들은 感盲”

“요즘 아이들을 ‘감맹(感盲)’이라고 부릅니다. 한 마디로 감을 못잡는다는 이야기지요. 사회성이 떨어져서 언제 어디서 어떤 말을 해야할지 모르는 애들이 많아요.” 최근 ‘말 통하는 세상에 살고 싶다’(씨앗을 뿌리는 사람)란 책을 펴낸 박영근(전 한세대 교수) 아담재 대표는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참된 의사소통을 위해선 첫째 자긍심에 바탕한 당당한 자기표현, 둘째 듣는 기술, 셋째 명확한 전달, 넷째 시와 때(상황)를 정확하게 가리는 능력의 4박자가 갖춰져야 합니다. 가슴 속에 있는 언어를 전달하려면 상대와의 관계를 어떻게 맺을까부터 생각 해야지요. 상대를 동등한 사람으로 여기지 않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물로 즉물화시키는 사고야말로 가장 위험합니다.”박 대표에 따르면 지구촌이 한데 어울려 사는 개방된 사회로 바뀌었는데도 자기의 벽에 갇혀있는 사람이 아직 많다는 것. 이는 상대의 말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내 목소리만 키우는 편중현상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상대방을 이용가능한 내 출세의 도구로 여기면 오해가 쌓입니다.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는 한국 법칙이 있지요. 상대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않기 때문에 감정소통도 안되고 몸싸움만 오가는 것입니다. 대화란 말재주나 처세술이 아닙니다.”

2002/10/28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42 이상봉 직지 티셔츠 첫 선 2010/07/08 한국일보
241 국어사전에 일생을 바친 사람들 2009/12/08 연합뉴스 보도자료
240 존대말 체계등 정리 우리말 세계화 초석 다져야 2008/10/09 헤럴드경제
239 [교단에서] 한글 사랑 실천을 2007/10/23 매일신문
238 [이사람] 우리말 갈수록 `잡탕말`로 변해 2007/10/09 조선일보
237 국립국어원장에 권재일 서울대 교수 2009/04/13 연합뉴스
236 잊혀진 한글학자 `이극로 선생` 저서 발견 2008/10/09 헤럴드경제
235 [만물상] 외솔 최현배 2008/09/03 조선일보
234 오탁번 한국시인협회 신임 회장 `시인은 우리말 파수꾼 돼야` 2008/03/21 국민일보
233 한글학자 故 최현배 선생 생가복원 내달 첫삽 2008/02/19 서울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