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77357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박영근씨 “말하는 법 모르는 요즘 아이들은 感盲”

“요즘 아이들을 ‘감맹(感盲)’이라고 부릅니다. 한 마디로 감을 못잡는다는 이야기지요. 사회성이 떨어져서 언제 어디서 어떤 말을 해야할지 모르는 애들이 많아요.” 최근 ‘말 통하는 세상에 살고 싶다’(씨앗을 뿌리는 사람)란 책을 펴낸 박영근(전 한세대 교수) 아담재 대표는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참된 의사소통을 위해선 첫째 자긍심에 바탕한 당당한 자기표현, 둘째 듣는 기술, 셋째 명확한 전달, 넷째 시와 때(상황)를 정확하게 가리는 능력의 4박자가 갖춰져야 합니다. 가슴 속에 있는 언어를 전달하려면 상대와의 관계를 어떻게 맺을까부터 생각 해야지요. 상대를 동등한 사람으로 여기지 않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물로 즉물화시키는 사고야말로 가장 위험합니다.”박 대표에 따르면 지구촌이 한데 어울려 사는 개방된 사회로 바뀌었는데도 자기의 벽에 갇혀있는 사람이 아직 많다는 것. 이는 상대의 말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내 목소리만 키우는 편중현상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상대방을 이용가능한 내 출세의 도구로 여기면 오해가 쌓입니다.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는 한국 법칙이 있지요. 상대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않기 때문에 감정소통도 안되고 몸싸움만 오가는 것입니다. 대화란 말재주나 처세술이 아닙니다.”

2002/10/28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2 `부자사전`이 아니라 `부사사전`이요 2007/01/08 한겨레
221 국내 최고 한글 금속활자 발견 2007/01/05 부산일보
220 남북 언어 이질 현상 극복 시급해 2006/12/25 세계일보
219 말글사랑 외길 2006/12/25 미디어오늘
218 (인터뷰) 우리말 연구가 임무출씨 2006/11/11 매일신문
217 국어는 국가의 품위 … 지도자들이 먼저 훼손 2006/10/30 중앙일보
216 [명복을 빕니다]안병희 초대 국립국어원장 2006/10/25 동아일보
215 고은 시인 이번에도 `쓴잔` 2006/10/13 세계일보
214 한글은 한국 알리는 우수한 꾸림정보 2006/10/12 미디어오늘
213 김운기씨 `국어교과서 박물관 꼭 세우고 싶어요` 2006/10/08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