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78862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외국인이 ‘우리말’ 가르친다
“한국어 교육도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좀 더 쉽고 새로운 방법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국제화에 발맞춰 서울대 국어교육과에 외국인 교수가 탄생했다.
서울대는 5일 미국 선교사 출신인 크레이그 메릴(43)을 1년 임기의 초빙교수로 채용했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외국인 교수를 채용한 사례는 많지만 ‘우리말’을 가르치는 국어교육과에 외국인 교수가 채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
지난 78년 한국에 선교사로 2년간 체류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주 UCLA에서 한국어교육학을 공부한 메릴은 87년 국내 영어교재회사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인과 결혼한 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모교인 UCLA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던 메릴은 서울대 국어교육과에서 외국인 교수를 찾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한국행을 택했다.
메릴은 현재 석사과정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다음 학기에는 박사과정 학생들과 학부생에게도 한국어 교육에 대해 강의할 예정이다.
학교측은 “국어교육과에 외국인 교수를 채용하게 된 것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의 시각에서 가르치는 국어수업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메릴은 “한국어 교육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을 할 때 외국인의 입장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학교측의 판단에 동의하고 있다.
2002/11/05 파이낸셜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92
인도·동유럽에 한국어 전파 앞장 `권영민 교수`
2006/03/28
중앙일보
191
노현정 아나운서 국어원 홍보대사
2006/03/27
한겨레
190
한글 가르치는 미니홈피 운영
2006/02/07
중앙일보
189
국립국어원장 임기 마친 남기심 씨
2006/02/01
동아일보
188
신임 국립국어원장 이상규 경북대 교수
2006/01/26
매일신문
187
다산의 ‘애틋한’ 우리말글 사랑
2005/10/25
경향신문
186
원로 국어학자 신문 조어 제목에 일침
2005/10/25
연합뉴스
185
부산대 정보컴공 권혁철 교수
2005/10/18
한국일보
184
세종대왕은 우리의 영웅
2005/10/08
조선일보
183
'우리 글 쉽게 배우는 법' 26년 연구
2005/10/08
중앙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9/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