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803046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인물
외국인이 ‘우리말’ 가르친다
“한국어 교육도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좀 더 쉽고 새로운 방법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국제화에 발맞춰 서울대 국어교육과에 외국인 교수가 탄생했다.
서울대는 5일 미국 선교사 출신인 크레이그 메릴(43)을 1년 임기의 초빙교수로 채용했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외국인 교수를 채용한 사례는 많지만 ‘우리말’을 가르치는 국어교육과에 외국인 교수가 채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
지난 78년 한국에 선교사로 2년간 체류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주 UCLA에서 한국어교육학을 공부한 메릴은 87년 국내 영어교재회사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인과 결혼한 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모교인 UCLA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던 메릴은 서울대 국어교육과에서 외국인 교수를 찾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한국행을 택했다.
메릴은 현재 석사과정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다음 학기에는 박사과정 학생들과 학부생에게도 한국어 교육에 대해 강의할 예정이다.
학교측은 “국어교육과에 외국인 교수를 채용하게 된 것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의 시각에서 가르치는 국어수업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메릴은 “한국어 교육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을 할 때 외국인의 입장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학교측의 판단에 동의하고 있다.
2002/11/05 파이낸셜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제목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46/58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