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53100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국어학자 이윤재

기자는 옷깃을 여미고 삼가는 마음으로 이 글을 쓴다. 1943년 12월8일 국어학자 이윤재가 함흥 형무소에서 옥사했다. 향년 56세. 이윤재의 호는 환산(桓山) 또는 한뫼다. 경남 김해에서 태어난 환산은 대구 계성 학교에서 공부하고 평북 영변의 숭덕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에 3ㆍ1운동에 가담해 3년 가까이 복역했다. 출옥 뒤에 중국 베이징 대학 사학과에서 수학하고 24년에 귀국해 여러 중등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는 조선어 학회의 기관지인 "한글"을 창간해서 그 편집을 주관했고, 진단학회에도 가입해 국사 연구에도 발을 들여 놓았다. 37년에는 흥사단 계열의 수양동우회 사건에 연루되어 이듬해 11월까지 옥살이를 했고, 그 뒤 연희 전문학교 교수로 일했다. 환산의 공부는 본디 사학으로 출발했지만 그의 주된 활동은 국어학과 국어 운동 쪽에 있었다. 그는 조선어학회의 동료 국어학자들과 한글 맞춤법을 제정하고 표준어를 사정하고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국어와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에 몰두했다. 그러나 그 국어 운동의 대가(代價)는 혹독했다. 그는 42년 10월1일 세칭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포돼 함흥 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그 이듬해 겨울 돌아갔다. 조선어학회 사건이란 일제가 조선학 연구의 탄압책으로 조선어학회에 "학술 단체를 가장하여 국체(國體) 변혁을 도모한 독립운동단체"라는 혐의를 씌워 회원들을 치안유지법 상의 내란죄로 기소한 사건이다. 이윤재 이극로 최현배 이희승 한징 정인승 등 33명이 기소됐는데, 이들 모두 심한 고문을 당했고 이윤재와 한징 두 회원이 옥사했다. 환산의 제자이자 사위인 김병제는 장인이 33년부터 모아놓은 미완의 사전 원고를 수정ㆍ증보해 해방 뒤인 47년에 "표준 조선말 사전"을 펴낸 바 있다.

2000/12/07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2 틀리기 쉬운 우리말 메일로 받아 보세요 2005/10/07 연합뉴스
181 기획처 장관의 각별한 한글 칭찬 2005/10/07 연합뉴스
180 한글날 의미 갈수록 퇴색 안타깝다 2005/10/07 세계일보
179 한글 배우니 한국인 뿌리 느껴요 2005/10/07 세계일보
178 한글 발전과 사랑에 대한 공로 2005/10/06 부산일보
177 한글날 559돌, '토종'보다 진한 한글 사랑 2005/10/06 세계일보
176 한글발전 유공자-권혁철 교수 세종문화상 2005/10/06 문화일보
175 한글맞춤법 프로그램 발전 공로로 상받는 권혁철 교수 2005/10/06 한겨레
174 ‘한글지키기‘한평생 최현배선생의 삶 2005/10/01 문화일보
173 세종대왕은 '(주)조선'의 대표이사였다 2005/09/30 조선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