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43932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국어학자 이윤재

기자는 옷깃을 여미고 삼가는 마음으로 이 글을 쓴다. 1943년 12월8일 국어학자 이윤재가 함흥 형무소에서 옥사했다. 향년 56세. 이윤재의 호는 환산(桓山) 또는 한뫼다. 경남 김해에서 태어난 환산은 대구 계성 학교에서 공부하고 평북 영변의 숭덕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에 3ㆍ1운동에 가담해 3년 가까이 복역했다. 출옥 뒤에 중국 베이징 대학 사학과에서 수학하고 24년에 귀국해 여러 중등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는 조선어 학회의 기관지인 "한글"을 창간해서 그 편집을 주관했고, 진단학회에도 가입해 국사 연구에도 발을 들여 놓았다. 37년에는 흥사단 계열의 수양동우회 사건에 연루되어 이듬해 11월까지 옥살이를 했고, 그 뒤 연희 전문학교 교수로 일했다. 환산의 공부는 본디 사학으로 출발했지만 그의 주된 활동은 국어학과 국어 운동 쪽에 있었다. 그는 조선어학회의 동료 국어학자들과 한글 맞춤법을 제정하고 표준어를 사정하고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국어와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에 몰두했다. 그러나 그 국어 운동의 대가(代價)는 혹독했다. 그는 42년 10월1일 세칭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포돼 함흥 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그 이듬해 겨울 돌아갔다. 조선어학회 사건이란 일제가 조선학 연구의 탄압책으로 조선어학회에 "학술 단체를 가장하여 국체(國體) 변혁을 도모한 독립운동단체"라는 혐의를 씌워 회원들을 치안유지법 상의 내란죄로 기소한 사건이다. 이윤재 이극로 최현배 이희승 한징 정인승 등 33명이 기소됐는데, 이들 모두 심한 고문을 당했고 이윤재와 한징 두 회원이 옥사했다. 환산의 제자이자 사위인 김병제는 장인이 33년부터 모아놓은 미완의 사전 원고를 수정ㆍ증보해 해방 뒤인 47년에 "표준 조선말 사전"을 펴낸 바 있다.

2000/12/07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1 [이어령 말의 정치학] 삼권(三權) 2003/11/12 중앙일보
120 북한시인 김조규 관심 높아져 2003/11/12 조선일보
119 이해하기 쉬운 詩가 좋은 시죠. 2003/11/11 헤럴드경제
118 “어려운 법률용어 우리말로 바꿉니다” 2003/10/08 한겨레신문
117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익섭 이사장 2003/10/08 연합뉴스
1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법제처 2003/10/05 한겨레신문
115 “수사용어 일제그림자 벗겼죠” 2003/10/01 경향신문
114 한글발전유공·세종문화상 수상자 2003/10/01 경향신문
113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별세 2003/08/25 연합뉴스
112 “한국어 폐강되면 한국도 잊혀져요” 2003/08/11 경향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