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02708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경어법에 적응하느라 혼났어요”

“말을 배우다 보면 한국과 터키가 형제나라라는 말이 더욱 실감 나요.” 최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개론서 ‘한국의 언어’를 터키어로 번역 출판한 술탄 훼라 아크프나르(32·여)는 할아버지 와 외삼촌 등 친척들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인연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터키 앙카라국립대에서 한국어문학을 전공한 후 서울대 대학원 국문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친 그는 석사논문을 쓸 때 ‘터키와 한국의 경어법 연구’를 주제로 삼으면서 양국의 말이 비슷하다 는 것을 실감했다고 한다. 최근에는 박사논문으로 훈민정음에 관한 연구를 준비중이다.

지난 95년 한국국제교류재단 장학생으로 유학차 한국에 왔을 때 에는 택시를 탈 때마다 운전기사가 대뜸 “몇 살?” “남자친구 는 있어?”라며 사적인 질문을 쏟아내는 통에 놀랐다는 그는 요 즘 새로 만난 사람에게 “몇살이냐”고 먼저 확인하는 버릇이 들 었다. “처음에는 나이며 기혼여부를 꼬치꼬치 묻는 것에 기가 막혔지만 지금은 한국사람 못지 않게 익숙해졌죠. 경어법이 발달돼 있는 문화 때문에 나이부터 확인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기본적으로 정많은 한국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갖는 관심 의 표현이라고 생각해요.”

서울대 국문과 이익섭 교수 등이 집필한 ‘한국의 언어’는 터키 에 소개되는 한국어 관련서적으로는 처음이다.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터키의 학술출판사 아의도두에서 출간된 번역본은 특히 아크프나르가 한국의 역사적 상황, 어원, 속담의 배경 등에 대한 세심한 각주를 곳곳에 추가해 원본보다 100여쪽 늘어난 것 이 특징이다. 유창한 한국말을 구사하는 아크프나르는 유학초기 하숙집에서 경 상도출신 친구들에게 사투리를 먼저 배우는 바람에 학교에서 애 를 먹었지만 ‘한국의 언어’를 번역하는 동안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평소 소설가 이호철씨와 이문열씨를 좋아한다는 아크프 나르씨는 “앞으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의 문학 작품 번역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적인 한국의 모습을 터키에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2003/01/28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2 한글 바로쓰기 운동 계속 할 것 2005/08/29 부산일보
171 한글학회 산증인 이강로씨의 첫 우리말사전 편찬기 2005/08/10 조선일보
170 '문화재 한글이름 달기' 2005/06/09 한국경제
169 'ㅆ, ㅉ 발음하기가 어려워요' 2005/05/23 중앙일보
168 인도네시아 반둥 ‘한글학교’교감 김태인씨 2005/05/19 경향신문
167 우리말 출생비밀 밝히는 조항범 충북대 교수 2005/05/02 노컷뉴스
166 한글학자의 핏줄 2005/04/22 조선일보
165 조영제 교수 생선회 우리말운동 나서 2005/04/04 서울신문
164 외국인에 한국어 전파 12년 2005/03/07 경향신문
163 한글을 문자예술로 ‘승화’ 2004/12/07 대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