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77895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알알·칼칼 …“맛 표현은 내 전공”

농수산쇼핑 쇼핑호스트 전은경 씨(29)는 최근 ‘맛을 표현하는 다양한 어휘 연구’라는 제목의 아담한 리포트를 냈다. 자신은 물론 동료 쇼핑호스트들과 함께 맛에 관해 보다 다채로운 방송언어를 구사하고 싶은 욕심 때문이었다.

“농수산쇼핑의 특성상 먹을거리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인데 매번 같은 표현을 하다 보면 제품의 차별화도 어렵고 시청자와 고객들도 쉽게 지루해하기 때문에 새로운 표현을 찾아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제까지 먹을거리의 맛을 표현하는 어휘는‘쓰다’‘달다’‘새콤하다’ 등 20~30가지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녀는 표현을 좀더 다양하게 하기 위해 지난 수개월간 온갖 자료를 다뒤지며 맛에 대한 어휘를 수집했다. 우리말사전을 샅샅이 뒤졌으며 TV도 먹는 장면이 나오는 프로그램만 주로 봤다. 소설과 옛 문헌도 뒤졌다.

“소설가 박완서 님의 글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여성 작가이시고 어휘가 워낙 풍부하신 분이라 그런지 음식에 대한 표현이 아주 다양한 것은 물론 ‘아 그렇구나’할 만큼 우리 음식에 딱 맞는 표현들이 정말 많았습니다.”그렇게 수집한 ‘맛 표현 어휘’가 무려 100여개.

‘맵다’는 표현 하나만도‘칼칼하다’‘알알하다’‘매콤하다’‘매움하다’ 등 무려 20여개나 됐다. ‘싱겁다’는 표현도‘밍밍하다’부터 ‘승겁다’에 이르기까지 10여개 이상이었다.

“우리말이 이처럼 다양할 줄 몰랐습니다. 우리 속담에 ‘아’ 다르고‘어’ 다르다고 하듯이 정말 ‘얼큰하다’와‘알큰하다’가 어떻게 다른지 실감하게 됐습니다.”그녀의 보고서 중 특히 주목받는 것은 ‘촉감으로 느끼는 맛’에 대한표현들. ‘말캉하다’‘물컹하다’‘날큰하다’‘야들야들하다’ 따위가그것이다.

“다 물렁한 느낌을 표현하긴 하지만 ‘말랑하다’는‘야들야들하게 보드랍게 무르다’, ‘날큰하다’는‘좀 말랑해서 늘어지다’는 뜻을 갖고있습니다. 연시에 대해서는 ‘말캉’이 제격이고, 찹쌀떡은 ‘말랑’이라고 해야 합니다.”전씨는 조만간 ‘시각으로 보는 맛’‘촉감으로 보는 맛’ 등에 대한 표현도 연구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2001년 농수산쇼핑에 입사, 식품·건강 전문 쇼호스트로 자리잡은 전씨는 “앞으로 식품 전문 쇼호스트로 명성을 쌓기 위해 맛표현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2003/01/29 내외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2 `부자사전`이 아니라 `부사사전`이요 2007/01/08 한겨레
221 국내 최고 한글 금속활자 발견 2007/01/05 부산일보
220 남북 언어 이질 현상 극복 시급해 2006/12/25 세계일보
219 말글사랑 외길 2006/12/25 미디어오늘
218 (인터뷰) 우리말 연구가 임무출씨 2006/11/11 매일신문
217 국어는 국가의 품위 … 지도자들이 먼저 훼손 2006/10/30 중앙일보
216 [명복을 빕니다]안병희 초대 국립국어원장 2006/10/25 동아일보
215 고은 시인 이번에도 `쓴잔` 2006/10/13 세계일보
214 한글은 한국 알리는 우수한 꾸림정보 2006/10/12 미디어오늘
213 김운기씨 `국어교과서 박물관 꼭 세우고 싶어요` 2006/10/08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