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78244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로스 킹 교수는?

러시아 한인 언어 해마다 녹취, 외국인 위한 한국어 교재 저술

러쓰 킹 교수는 1961년 미국 미네소타주 라체스터에서 태어나 위스콘신주 오클레어에서 자랐다. 교육열이 높은 부모님의 권유로 어릴 때부터 콘코디아 언어마을에 여름마다 입촌해 외국어를 익혔다. 이때의 조기 교육이 현재 무려 25개의 외국어를 익히고, 이중 한국어와 러시아, 독일어를 모국어인 영어와 같이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됐다.

킹 교수는 83년 예일대를 졸업한 뒤 91년 하버드대에서 한국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90년부터 94년까지 영국 런던대에서 한국어 회화를 가르쳤으며, 94년이후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브리티시 콜럼비아대학(UBC)의 한국어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그는 ‘19세기 러시아에서 간행된 한국방언에 관한 연구자료’를 박사논문으로 쓴 뒤 지금도 러시아를 매년 방문해 재소한인들의 사라져가는 말을 녹취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함경도와 육진방언에 관한 사전을 편찬할 계획이다.

주요 저서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인 ‘기초 한국어(Elementary Koren)’과 ‘중급 한국어(Continuing Korean)’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중앙아시아 한국인과 그들의 언어-고려말’등이 있다. 또 현재 한국국제교류재단 등이 추진하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과서 개발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킹 교수는 이러한 공로로 2000년 9월 한글날 한글발전유공자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그는 84년 하버드대학에서 만난 한국인 김효신(교육학 박사)씨와 결혼해 살고 있다.

2003/02/17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33 왜 한국인은 영어말하기가 어려운가? 2014/05/15 아시아경제
432 `도적`을 세는 단위는 왜 `5`일까? 2014/05/14 오마이뉴스
431 `창피한 줄도 모르고…` 2014/05/06 국방일보
430 [21세기 人文學 리포트] 존칭 강요하는 사회, 창의력이 죽어간다 2014/05/02 매일경제
429 [주간조선] `어서어서`와 `오소오소` 상하이 방언에 숨은 한국어 2014/04/30 조선일보
428 `단도리` 같은 일본말 쓰지 말아야 2014/04/24 한겨레
427 자장면 곱빼기 시키신 분 2014/04/22 국방일보
426 [노경아의 라온 우리말터]`돼지 껍질`과 `조개 껍데기` 2014/04/15 이투데이
425 어른께도, 연세나 춘추 말고, `나이`라고 해도 됩니다 2014/04/13 컬처투데이
424 [우리말은 겨레의 힘] 왜, 우리말이 홀로서야 하나? 2014/04/06 뉴스천지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