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0177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로스 킹 교수는?

러시아 한인 언어 해마다 녹취, 외국인 위한 한국어 교재 저술

러쓰 킹 교수는 1961년 미국 미네소타주 라체스터에서 태어나 위스콘신주 오클레어에서 자랐다. 교육열이 높은 부모님의 권유로 어릴 때부터 콘코디아 언어마을에 여름마다 입촌해 외국어를 익혔다. 이때의 조기 교육이 현재 무려 25개의 외국어를 익히고, 이중 한국어와 러시아, 독일어를 모국어인 영어와 같이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됐다.

킹 교수는 83년 예일대를 졸업한 뒤 91년 하버드대에서 한국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90년부터 94년까지 영국 런던대에서 한국어 회화를 가르쳤으며, 94년이후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브리티시 콜럼비아대학(UBC)의 한국어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그는 ‘19세기 러시아에서 간행된 한국방언에 관한 연구자료’를 박사논문으로 쓴 뒤 지금도 러시아를 매년 방문해 재소한인들의 사라져가는 말을 녹취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함경도와 육진방언에 관한 사전을 편찬할 계획이다.

주요 저서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인 ‘기초 한국어(Elementary Koren)’과 ‘중급 한국어(Continuing Korean)’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중앙아시아 한국인과 그들의 언어-고려말’등이 있다. 또 현재 한국국제교류재단 등이 추진하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과서 개발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킹 교수는 이러한 공로로 2000년 9월 한글날 한글발전유공자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그는 84년 하버드대학에서 만난 한국인 김효신(교육학 박사)씨와 결혼해 살고 있다.

2003/02/17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53 [발언대] 대통령 `당선자`인가, `당선인`인가/구법회 한글학회 정회원 2012/12/24 서울신문
352 `우리말 지킴이` 정재환, 한글 연구로 박사됐다 2012/12/18 한국일보
351 `우리말 말살책`에 맞선 권승욱, 그 후손을 찾습니다 2012/12/08 오마이뉴스
350 [만물상] 외국어 표지판 2012/12/07 조선일보
349 '사랑ㆍ연인' 사전적 정의 바꾼 경희대생들 2012/12/05 연합뉴스
347 [시래기]배추 잎 말린 건…우거지일까? 시래기일까? 2012/12/03 농민신문
346 [월요기획] 방언 살리기 운동 2012/11/26 2012/11/26
345 `국민의례·국위선양`, 이 말은 제발 쓰지 말자 2012/11/19 오마이뉴스
344 찍그림, 깎새… 50년째 미술용어 순우리말 작업 헌신 2012/11/15 부산일보
343 한글과 한자(漢字) 2012/11/12 법률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