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06402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인물
공군, 한글수호도 겸업?

“우리 말을 가르치며 한국문화를 알려요.”

미군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우리 문화 알리기의 파수꾼 역할을 하고있는 한국군 부대가 있다.

대구의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주인공. 이 부대는 3월 초 정낙헌(37) 소령 등 자원한 장교 7명들을 강사진으로 기지 내에 있는 주한 미공군 607대대 장병들에게 매주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매주 2시간씩 하는 한글수업을 듣는 미군은 현재 10여 명이다.

한국어 교육과 함께 매달 지역향교를 찾거나 다도(茶道) 동아리 활동을 통해 전통차를 즐기는 등 우리 문화도 공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지를 만드는 현장을 찾아보기도 했다.

강사로 자원봉사중인 허익준(27) 중위는 “미군 수강생들이 한국어 강좌를 듣고 나서 한국과 한국인을 제대로 이해하게 됐다고 고마워할 때 보람을 느낀다”며 “서로에게 매우 유익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2003/05/02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73 [날줄씨줄]통(通)하였느냐 2013/03/18 제민일보
372 `이기 바로 자갈친기라!`…사투리 때문에 울고웃는 부산 사람들 2013/03/11 공감 코리아
371 [기고] `갈맷길`은 `갈맥길`이 옳다 2013/03/04 부산일보
370 [기고] 표기법은 쉽게 바꾸어서는 안 된다/조남호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2013/03/04 서울신문
369 `관념적 학문사투리, 쉬운 우리말로 바꾸면 철학의 새 길 열려` 2013/02/22 한국일보
368 [문화칼럼] 정월 보름달이 전하는 말 2013/02/19 부산일보
367 어렵지만 지켜야 할 예법 `지방쓰는 법` 2013/02/10 뉴데일리
366 설날 단상 2013/02/08 문화일보
365 명사 이어령, 실시간 화상으로 한국어의 매력 알리다 2013/02/07 공감코리아
364 `형의 장모님` 뭐라 부를까? 정답은 `사장어른` 2013/02/06 머니투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