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58311161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국어사 연대표 | 주제별 찾아보기
 
  닿소리와 홀소리의 배열과 이름
 
훈민정음은 창제 당시에는 모두 스물여덟 자였는데, [훈몽자회]에 와서 'ㆆ'이 줄어든 스물일곱 자가 되었고, 현행 맞춤법에 와서는 다시 'ㆁ, ㅿ, ㆍ'가 줄어든 스물넉 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훈몽자회에서 처음으로 한글 자모의 명칭이 제시되었습니다.
닿홀소리 차례 변천

<훈민정음, 1446>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 ㆍ,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훈몽자회, 최세진, 1527년>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ㆍ

<삼운성휘, 홍계희, 1751년>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ㅈ, ㅊ, ㅌ, ㅋ,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ㆍ

<국문연구의정안, 국문연구소, 1907년>

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ㅌ, ㅋ,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ㆍ

<한글 맞춤법, 1933년, 1988년>
ㄱ, ㄴ, ㄷ, ㄹ, ㅁ, ㅂ, ㅅ, o, ㅈ, ㅊ, ㅌ, ㅋ,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오늘날의 자모순서>

우리: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글자의 모양에 중심)
북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ㆅ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소리의 비슷함에 따라)



닿홀소리 이름 변천

닿소리의 이름은 변화가 있었지만, 홀소리의 이름은 줄곧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 ㆍ'로 이어져 오다가 한글맞춤법에서 'ㆍ'만 제외되었을 뿐 나머지는 그대로 쓰이고 있습니다.

<훈몽자회>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키, 티, 피, 지, 치, ㅿㅣ, 이, 히,

<대한문전>

기억, 느은, 드읏, 르을, 므ㅣ, 브읍, 스읏, 으응, 흐, 즈, 츠, 크, 트, 프

<국문연구의정안>

이응, 기윽, 니은, 디?, 리을, 미음, 비읍, 시읏, 지읒, 히읗, 키읔, 티읕, 피읖, 치읓

<언문철자법>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윽, 티읕, 피읖, 히옷

<한글 맞춤법>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