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들른 이 182725456 명
깁고 더함 2007/12/28
|
|
 |
|
|
|
 |
|
지시어의 바른 사용 | 접속어의 바른 사용 | 다양한 문장 표현 | 문장 부호의 사용 |
|
|
|
|
|
'이, 그, 저'가 우리말에서 대표적인 지시어입니다. 이 지시어는 대명사(예: 이것),
관형사(예: 이), 형용사(예: 이러하다), 부사(예: 이리)에 고루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 지시어를 정확하게 쓰지 않거나 너무 빈번하게 쓰면 문장의 뜻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
|
|
|
|
|
|
|
 |
|
어디로부터도 |
|
|
"그동안 어디로부터도 동지적 분위기를 확보하지 못했는데 오늘에야 역사는 사필귀정임을 실감한다"고 공선협 간부들을 반겼다.
→ "그동안 누구로부터도 동지적 분위기를 확보하지 못했는데 오늘에야 역사는 사필귀정임을 실감한다"고 하면서 공선협 간부들을 반겼다. <한겨레 2000. 9. 5. 화:종합 5면>
|
|
풀이 :
뒤에 쓰인 "공선협 간부들"을 가리키는 말과 호응하려면 누구가 알맞은 표현입니다.
어디는 `잘 모르는 어느 곳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
|
출처 : 어문규정 준수 실태조사 |
|
|
|
|
번호 |
예제 |
출처 |
247 |
거기에서
|
우리말배움터 |
|
|
|
159 |
그것
|
[한효석, 이렇게 ... |
|
|
|
58 |
그것보다
|
[한효석, 이렇게 ... |
|
|
|
160 |
그것에
|
[한효석, 이렇게 ... |
|
|
|
158 |
그것이다
|
[한효석, 이렇게 ... |
|
|
|
161 |
그는
|
[한효석, 이렇게 ... |
|
|
|
59 |
그런 물
|
[한효석, 이렇게 ... |
|
|
|
163 |
기억하는
|
[송준호, 문장부터... |
|
|
|
81 |
실현하려고
|
[송준호, 문장부터... |
|
|
|
233 |
어디로부터도
|
어문규정 준수 실태...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