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들른 이 181497589 명
깁고 더함 2007/12/28
|
|
 |
|
|
|
 |
|
우리말
사전 | 어문 규정 | 어휘 | 글쓰기
| 우리말 글살이 |
|
|
|
|
 |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 1991
국어연구소에서 1987년에 1910년부터 시작하여 198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하여 신문과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조사하여 보고서를 발간한 일이 있다. 이번 보고는 그 보고서의 속편이라 할 수 있다.
국어연구원이 개원 첫 해를 맞아 1990년도의 신문과 잡지 몇 개를 추출하여 거기에 사용된 외래어를 조사하여 엮은 ... [자세히]
|
|
|
 |
쓰레기통에서 건진 내 영어, 백현락
민예원, 1995
우리가 영어를 할 때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에서 대표적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말 단어과 영어 단어는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는다. go나 take를 우리말로 바꾸면 얼마나 뜻이 다양한가? 따라서 단어의 뜻을 하나면 알면 이해하기 어렵다.
둘째, 우리가 영어를 말할 때 한국식으로 먼저 생... [자세히]
|
|
|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우리누리
그린비, 1995 저자가 삽화와 만화를 넣어서 낱말을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초등학생이라도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육적인 책이다. 우리말과 표현이 어떻게 생겨났는 지를 알아 볼 수 있다. 이 책에 소개된 몇 가지를 예를 들면, [꿩 대신 닭], [숙제], [파김치], [함흥차사] 등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를 알 수 있다.
|
|
|
 |
삐삐와 깜박이, 우재욱
삶과 꿈, 1997
이 책은 우리가 잘못 쓰고 있는 말 90가지를 소개한다. 예를 들면, 어휘 단계에서 [저희나라], [가능성이 높다], [못 나가겠다] 등과 문법 단계에서 [속을 썩히다], [전시될 예정이다], [쓰여졌다] 등, 존대와 겸양, 순접과 역접에 관해 설명해 놓은 것과 공문서에서 잘못 쓰는 용어와 문장을 알아볼 수 있다.
|
|
|
 |
개나라 말 닭나라 국어, 오동환
효형출판, 1995
저자는 우리가 자주 쓰는 말 중에서 잘못된 말을 지적하고 몇 가지 말의 원 뜻을 정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 책을 통해 [세계화], [지방화], [지역감정], [영부인]의 쓰임에 대해 알 수 있으며, [연못]와 [인형]의 본래 뜻을 비롯하여 진정한 우리말의 쓰임과 의미를 공부할 수 있다.
|
|
|
|
|
|
◀
1
2
3
4
5
6
7
8
9
▶
5/9
|
|
|
|
 |
|
|
|